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가계빚 1927조 '역대 최대'…"1분기 증가세 둔화 이어갈 것"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작년 4분기 가계빚 13조↑, 증가폭 전분기比 줄어
주택매매 감소→주담대 증가폭 줄어든 영향
2024년 가계빚 2.2% 증가…"3년 연속 하향 안정화"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 가계 신용(빚)이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1927조원을 기록,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다만 증가 폭은 전 분기보다 줄었다. 주택매매 거래가 감소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축소한 영향이다. 주담대에 2~3개월 선행하는 부동산 거래가 지난해 7월을 정점으로 주춤한 상황이어서, 올해 1분기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가계빚 1927조 '역대 최대'…"1분기 증가세 둔화 이어갈 것"
AD
원본보기 아이콘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 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가계 신용 잔액은 1927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13조원 늘었다. 전 분기 18조5000억원 증가와 비교하면 그 폭을 줄였다. 가계 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대부업체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더한 포괄적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가계 신용은 지난해 1분기 3조1000억원 감소했으나 2분기 다시 13조4000억원 증가 전환했다. 이후 3분기 18조5000억원, 4분기 13조원으로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가계신용 중 카드 대금(판매신용)을 뺀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4분기 말 1807조원으로 전 분기 대비 10조6000억원 늘었다. 다만 증가 폭은 전 분기(16조7000억원)보다 줄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증가하던 주택매매 거래가 주춤하면서 주담대 증가 폭이 줄어든 영향이다. 4분기 말 주담대는 전 분기 대비 11조7000억원 늘어 1123조9000억원을 나타냈다. 2023년 1분기(4조4000억원 증가) 이후 가장 적은 증가 폭이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오피스텔 등 비주택 담보대출과 증권사 신용공여액을 중심으로 전 분기 대비 1조2000억원 줄었다. 다만 지난해 1분기(-13조2000억원) 이후 감소 폭은 줄고 있다.

대출 창구별로 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66조1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6조9000억원 늘었다. 다만 주담대 증가 폭이 크게 줄면서 예금은행 가계대출 증가 폭 역시 지난해 3분기 22조7000억원 대비 크게 줄었다.


반면 상호금융,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310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6조원 증가 전환했다. 2022년 3분기 이후 9분기 연속 감소하다가 증가로 돌아섰다. 주담대 증가 폭이 커지고 기타대출 감소 폭이 줄면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다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이 지난 3년간 자산건전성 강화를 위해 대출을 줄여온 데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대출이 감소한 상황이어서 추세 전환 여부는 지켜봐야 한단 분석이다.


보험, 증권, 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530조6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조4000억원 줄며 감소세를 이어갔다. 보험회사의 보험 약관 대출 등이 증가했으나 주식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증권사의 신용공여액이 감소세를 지속한 데 따른 영향이다.


지난해 4분기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 잔액은 118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연말 개인카드 사용액 증가 등 계절 효과로 2조4000억원 늘었다.


한편 지난해 가계신용은 41조8000억원 늘었다. 2023년 말 대비 2.2% 증가한 수치다. 2021년 133조4000억원(7.7%) 증가한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김민수 한은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장은 "가계 신용은 지난해 3분기 많이 증가했으나 지난해 9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등 거시건전성 정책과 은행의 대출 포트폴리오 관리의 영향으로 4분기 들어 빠르게 안정됐다"며 "2024년 연간 가계신용은 전년 말 대비 2.2% 증가했는데, 2024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6% 이상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가계 부채 비율은 3년 연속 하향 안정화될 것이 확실시된다"고 말했다. 정부와 한은이 목표로 하는 가계부채 비율의 점진적인 하향 안정화 목표에 부합한다는 설명이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