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018년처럼" 트럼프1기 보복관세 못 박은 캐나다 총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다음 달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캐나다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보복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앞서 트럼프 집권 1기 때인 2018년 단행된 보복 관세를 언급하며 "우리의 대응은 (미국의) 관세 철폐에 결정적 역할을 했었다"는 평가도 내놨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2017년 10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과 대화하며 걷고 있다. AFP연합뉴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2017년 10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과 대화하며 걷고 있다. AF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뤼도 총리는 9일(현지시간) 노바스코샤 핼리팩스 상공회의소가 주최한 행사에서 "(미국의) 불공정한 관세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여전히 적절한 대응 방법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이 예고한 25% 관세가 캐나다 경제에 파괴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도 이러한 조치로 인해 오히려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미국인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현실을 깨닫기 시작했다는 징후가 확인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내달 취임을 앞둔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날 멕시코와 캐나다산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특히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1기 집권 당시 벌어졌던 양국 간 관세전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 5월에도 캐나다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을 대상으로 한 고율 관세를 발표했고, 트뤼도 총리는 "모욕적"이라며 반발했었다. 직후 캐나다는 미국의 조치가 취소될 때까지 '전후 가장 강력한 무역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버번, 할리 데이비드슨, 하인즈 케첩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품목을 포함한 대규모 보복관세를 단행했다.


트뤼도 총리는 당시 캐나다의 보복관세가 "대통령의 소속 정당(공화당)과 동료들에게 정치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었다"며 "우리는 미국인들이 실제로 느낄 수 있는 방식으로 반격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뤼도 총리가 2018년 보복관세가 성공적이었다고 주장했다"면서 "해당 발언은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위협을 현실화할 경우 캐나다 정부가 보복에 나설 것을 알리는 가장 강력한 표현"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면서도 다른 목적을 염두에 둔 협상 방식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트럼프의 접근방식은 종종 사람들에게 도전하고, 협상 상대를 불안하게 만들고, 불확실성과 약간의 혼란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당황하거나 공황에 빠지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뤼도 총리는 앞서 트럼프 당선인이 25% 관세를 예고한 직후인 지난달 말, 미국 플로리다주를 찾아 트럼프 당선인과 직접 만나기도 했다. 보수성향의 폭스뉴스는 이 자리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불법 이민, 마약, 무역적자 등에 대한 불만을 터뜨렸다면서 이러한 요구사항을 이행하지 못할 경우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돼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두 사람은 관세를 비롯한 무역 문제 등으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도 마찰을 빚었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따르면 양국 무역규모는 1조달러에 육박한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