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한동훈 복수의 화신인가"
김용민 "언론장악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
김예령 "민주당, 채널A 압색엔 목소리 냈나"
경찰이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개인정보 유출을 이유로 MBC 기자와 MBC·국회를 압수수색한 데 대해 야권이 "언론탄압"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같은 날 윤석열 대통령이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의 면직안을 재가한 것도 언론탄압의 연장선상으로 보고 있다. 이에 여당은 "정보 유출은 불법"이라며 맞섰다.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1일 YTN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서 "윤석열 정부의 황태자, 한 장관이 아닌 다른 사람이었으면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까"라며 "한 장관이 이번 사건으로 ‘복수의 화신’으로 등극을 했다"고 평가했다.
그가 한 장관을 '복수의 화신'이라 부른 것은 압수수색을 당한 기자의 과거 기사 때문이다. 김 의원은 "그걸(개인정보를) 유출했다라고 하는 언론사와 기자가 이번 정부에서 미운털이 단단히 박혀 있는 MBC가 아니었으면 이런 일이 발생했을까"라며 "특히 지금 압수수색을 당한 임모 기자라고 하는 분은 윤석열 대통령의 이른바 ‘바이든 날리면’ 발언을 보도했던 기자이고 그 전에 ‘검사 술 접대 사건’으로 한동훈 당시 검사로부터 3000만 원 손해배상 소송을 받았던 기자"라고 했다.
한 장관이 과거 임모 기자의 기사 등을 이유로 복수에 나선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 의원은 "그러니 고귀한 한 장관 그리고 미운털이 단단히 박혀 있는 MBC 임모 기자, 이런 등장인물들이 아니면 이런 정도의 사안을 가지고 이렇게 압수수색을, 그것도 MBC 뉴스룸에 들어가서 이렇게 압수수색하는 게 가능할까"라고 했다.
같은 당 윤건영 의원은 KBS '최경영의 최강시사'서 한 위원장 면직과 MBC 압수수색 등을 엮어 "과도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 위원장은 임기가 두 달 남았다. 절차도 무시한 것"이라며 "대통령실에서 사실상 찍어 내기를 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했다. 그는 두 사건이 '방송 장악' 의도에 따른 것이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당연하다. 그거는 앞으로 있을 총선이라든지 4년 남은 국정 운영을 정말 손쉽게 하겠다는 것"이라며 "자기 발등 찍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 역시 SBS '김태현의 정치쇼'서 "독재를 지향하는 정권·정부가 제일 먼저 하는 게 사실 언론장악이랑 그다음에 집회시위 자유를 제한하고 금지하는 것"이라며 "어제도 MBC 압수수색에 들어갔는데, 언론장악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을 동시다발적으로 지금 하고 있는 것이고 그 정점이 저는 한 위원장에 대한 면직처분이라고 보고 있다"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정보유출은 불법'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나섰다. 김예령 대변인은 전날 논평을 통해 "압수수색은 개인정보 유출 혐의에 대해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 따른 적법한 절차"라며 "‘언론 자유 침해’라는 주장도 사안의 성격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표피적인 접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무죄로 드러난 과거 채널A 검언유착 의혹 당시, 채널A에 대한 압수수색에 대해 민주당이 조금이라도 목소리를 높인 적이 있는가"라며 "지긋지긋한 민주당의 ‘선택적 정의’, ‘선택적 법치’에 국민들은 분노한다"고 덧붙였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