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경제활동인구 '쉬었음' 청년 50만명
2003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
청년층 취업자는 12.5만명 감소해
지난달 경제 활동 상태에 '쉬었음'이라고 답한 청년층(15세~29세) 응답자가 50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월 비경제활동인구(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인구) 가운데 활동 상태를 '쉬었음'이라고 답한 청년은 49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3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2019년 2월 38만6000명에서 2020년 2월 43만8000명, 2021년 2월 44만9000명, 2022년 2월 45만3000명으로 점차 늘다가 올해 2월 49만7000명을 기록했다.
1년 새 4만5000명(9.9%)이 증가했다.
통계청 조사에서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했고 즉시 취업이 가능한 상태인 미취업자는 실업자로 분류된다.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했거나 실업한 상태가 아니었던 비경제활동 인구는 활동 상태별로 육아나 가사, 재학·수강 등, 연로, 심신장애, 기타 등으로 나눈다.
'쉬었음'은 이 중 기타에 속하는 경우다. 이는 취업 준비·진학 준비·군 입대 대기 등과는 다른 개념으로, 구직이나 취업 준비도 하지 않고 말 그대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었다'는 뜻이다.
통계청은 1년에 한 번 '쉬었음'의 주된 이유를 조사한다.
지난해 8월 '쉬었음'이라고 응답한 이유를 보면, '몸이 좋지 않아서(39.4%)'가 가장 많았고 이어 ▲'원하는 일자리·일거리를 찾기 어려워서(18.1%)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17.3%) ▲일자리·일거리가 없어서(7.8%) ▲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음(7.1%) 등이 뒤따랐다.
그러나 이는 전 연령을 포괄한 조사 결과여서 청년층만 떼어 보면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한편 2월 20대 이하 청년층 취업자는 385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5000명 줄었다. 2021년 2월(-14만2000명) 이후 2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청년층 고용률도 45.5%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p) 하락했다. 2021년 2월 이후 2년 만에 하락 전환이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