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에서 '시민의 발' 시내버스가 또 한 번 멈출 위기에 처했다.
창원시내버스노동조합은 2025년 임금·단체협상 교섭 결렬에 따라 23일 시행한 파업찬반투표에서 전체 종사자 대비 85.6%가 파업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준공영제를 운용 중인 시내버스 9개 사 노조 조합원 1621명 중 1455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1387명이 파업에 찬성해, 노조는 쟁의권을 확보하게 됐다.
이에 노조는 오는 27일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진행될 2차 조정이 결렬되면 다음 날인 28일 첫차부터 버스 운영을 멈출 계획이다.
파업에 돌입하는 버스는 창원 전체 시내버스의 95%에 달하는 669대에 이른다.
앞서 시내버스 9개 사 노사는 2025년 임금·단체협상을 위해 지난해 12월 20일부터 5차례 교섭, 2차례의 사전 조정 등을 이어왔다.
노사는 지난해 12월 19일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선고한 통상임금 기준 변경 판결에 따른 임금체계 개편과 반영을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수당과 퇴직금의 산정기준이 되는 통상임금이 올라가면 각종 법정 수당도 함께 오르는데, 지난해 대법원은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봐야 한다는 판결을 했다.
이에 사측은 이번 협상에서 임금체계 개편을 통해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임금 상승효과를 최소화하자는 입장이나, 노측은 통상임금과 임금협상을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줄곧 평행선을 달리던 양측은 지난 12일 경남지노위에 조정을 신청했으나 지난 22일 1차 조정에서 합의하지 못했다.
창원시에 따르면 창원시내버스노조는 2023년에도 통상임금 갈등으로 하루 간 시내버스 운행을 멈추는 등 최근 5년간 2차례 파업을 시행했다.
시는 서울, 부산, 울산, 창원, 경기, 제주 등 11개 지역 시내버스 노조가 동시에 조정을 신청해 공동파업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노사 입장차가 끝내 좁혀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하고 임시노선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은 "버스 노사 간 간극이 너무 큰 상황이다. 또다시 파업이 발생하면 시민분들께서 노측의 입장을 공감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 시는 버스 노사 간 타결안 마련을 위해 적극적으로 교섭을 유도하고, 만일의 사태에 따른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대책 준비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