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김동연, 주30시간 근무 기업 방문…"올해 도내 50여곳 주4.5일 시범 추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 30시간 근무에도 해마다 매출 성장과 함께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은 성남시 판교창업존 입주기업 ‘브레인벤쳐스’를 방문, 간담회를 가졌다.


김동연 지사는 "과거 노동집약적으로 근로시간을 길게 해 생산성을 높이던 시대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 시대가 바뀌었다"며 "시대변화를 잘 읽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생산 요소라고 하면 노동, 자본, 땅을 말하는데 이제는 노동에서 양보다는 질이 중요해졌다"면서 "노동의 질은 애사심, 충성심, 통제가 아닌 동기부여 등에서 나온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주 4.5일제와 유연근무제 등을 통해 일과 삶의 양립(워라밸)이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기업의 생산성뿐 아니라 저출산 문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앞서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주 4.5일제’ 도입을 지난해 8월 발표했다. 주 4.5일제는 ▲격주 주 4일제 ▲주 35시간제 ▲매주 금요일 반일 근무 등 3가지 가운데 하나를 노사합의로 선택해 근로시간을 단축하는 제도다. 근무시간 단축에 필요한 임금은 공공이 지원하게 된다.

김 지사는 당시 경력단절 없는 ‘0.5&0.75잡’ 프로젝트와 함께 주 4.5일제를 경기도의 신규 사업으로 추진한다고 공식화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7일 성남 소재 브레인벤쳐스를 찾아 김원회 대표 등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7일 성남 소재 브레인벤쳐스를 찾아 김원회 대표 등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경기도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경기도는 이에 따라 올해부터 도내 50여 기업을 대상으로 주 4.5일제 시범사업을 도입한다. 임금 축소 없는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노동자 1인당 생활임금 수준의 장려금을 지급하게 된다.


기업이 노동생산성을 유지하며 제도를 도입할 수 있도록 업무 프로세스, 생산 공정개선 등 컨설팅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방문한 브레인벤쳐스는 직원들이 하루 6시간씩 일한다. 주 52시간 근무제에 비하면 노동시간이 거의 절반인 ‘주 30시간 노동제’를 시행하는 셈이다. 이 제도로 인해 직원들은 오전 9~10시 출근(유연 출근제)해 오후 4시 전후 퇴근하게 된다. 회사 측은 주 30시간 근무에도 불구, 직원 연봉은 업계 평균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2020년 설립 후 브레인벤쳐스의 매출은 해마다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난해 매출도 전년도 대비 25%이상 매출이 상승했다.


김원회 브레인벤쳐스 대표는 "기업 초기부터 현재의 주 30시간, 재택근무, 유연 출근제 등을 시행했는데, 좋은 성과가 나오고 있다. 늦게까지 남아 있는 게 (회사에 대한) 신뢰의 지표가 아니다"며 "오전 10시~오후 2시의 ‘코어타임’에 같이 모여서 일하면 된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