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개 최고위·의총 등 열었지만 결론 못내
친한계 '조기 하야' vs 친윤계 '임기 단축 개헌'
2차 탄핵 표결 대응 방식도 못 정해
국민의힘은 9일 윤석열 대통령 퇴진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 토론을 이어갔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조기 하야와 임기단축 개헌 논의 등을 놓고 계파 간 의견 차이만 드러냈다.
이날 오전 국민의힘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와 비상의원총회, 중진 회동이 잇달아 진행됐다. 국민의힘은 이날 발족한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이번 주 중으로 결과를 도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서범수 사무총장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탄핵보다는 (대통령 퇴진 시기를) 좀 빨리 가지고 가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의총에서도 친한(친한동훈)계의 '조기 하야', 친윤(친윤석열)계 간 '임기 단축 개헌' 주장이 엇갈린 것으로 전해졌다. 퇴진 로드맵과 관련해선 의원들 간 의견차가 뚜렷해 얼마나 빨리 결론을 내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김종혁 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에서 "한동훈 대표의 입장은 '(탄핵보다는) 하야가 맞다' '탄핵에 준하는 속도로 하야 프로그램을 밝히는 게 좋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은 BBS 라디오에서 "1년 이내건, 6개월 이내건 질서 있는 퇴진을 하는 것이 훨씬 더 사회 안정에 도움이 된다"며 탄핵보다 '6개월∼1년 내 퇴진' 시나리오를 언급했다.
당 주류인 친윤계·중진 사이에서는 임기단축 개헌 등을 통한 퇴진 로드맵으로 쏠리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를 내후년 지방선거 또는 그 이후로 잡으려는 것이다.
야당의 탄핵 공세도 거세지고 있어 14일 2차 탄핵안 표결 전에는 구체적인 퇴진 타임라인을 제시해야 하는 상황이다.
2차 탄핵안 표결에서 국민의힘이 다시 당론으로 반대를 결정할지, 표결에 불참할지도 불투명하다.
실제로 친윤계는 2차 탄핵안 역시 표결 불참 당론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친한계에서는 표결을 강제로 막을 수 없고 가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압박하고 있다.
이날 의총에서도 찬반 의견이 엇갈렸다. 이양수 의원은 브리핑에서 "나중에 본회의가 잡히고 표결에 들어가기 전에 (의총에서) 결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한 대표가 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 것 등을 두고 윤상현 의원은 "대통령 담화는 당에 (국정 운영을) 일임한다는 것이므로, 관련된 모든 로드맵은 의총에서 중지를 모아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 대표가 대통령의 군 통수권이 '직무배제' 대상 범위에 포함된다는 취지로 말한 것과 관련해 윤 의원은 이날 "누구도 헌법과 법률이 아닌 이상 대통령의 권한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이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지 않았다. 서 사무총장은 "법적인 논리로 이야기하면 우리가 디펜스(방어)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2000만원대 전기차·59만원대 AI폰…中제품, '각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