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2027년부터 국내 골프장 '정체기'…수도권↓·부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국내 골프장 수, 2027년부터 증가세 꺾여
바뀐 골프장 분류 체계·까다로운 인허가 탓
수도권 비중 늘고 부산·경남권 줄어들 전망

앞으로 국내 골프장 수가 '정체기'에 접어드는 가운데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고 부산·경남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도권 골프장 수가 포화 상태에 다다른 반면 부산·경남권은 상대적으로 여유 면적이 있고 사계절 영업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23일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발간한 '레저백서'에 따르면 국내 골프장수는 코로나19 특수에 힘입어 2026년 말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운영 중인 골프장 수(18홀 환산, 군 골프장 포함)는 2021년 말 573개소에서 2023년 말 611.2개소, 2026년 말에는 643.8개소까지 는다. 5년 만에 70.8개소(12.4%) 증가하는 셈이다. 그러나 2027년에 접어들면서는 이러한 증가세가 크게 꺾일 것으로 봤다.

2027년부터 국내 골프장 '정체기'…수도권↓·부산↑
AD
원본보기 아이콘

우선 새로운 골프장 분류 체계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체시법 개정 시행령 중 행정 예고인 ‘대중형 골프장 지정에 관한 고시’를 통해 대중형 골프장으로 분류되려면 입장 요금이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가격보다 3만4000원 낮아야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대중형 골프장으로 계속해서 세제 혜택을 받으려면 정부가 고시한 수준으로 그린피를 내리거나 비회원제 골프장으로 변경해 기존(토지 0.2~0.4%, 건물 0.25%)보다 높은 재산세율을 부담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비회원제 골프장은 세금 감면 혜택이 축소되면서 수익성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대중형 골프장들도 입장료를 인하하면서 수익성이 떨어지게 된다.

엄격한 인허가 요건으로 인해 토지 확보가 어렵다는 점도 한몫했다. 현재 규정에 따르면 골프장, 스키장 등 민간이 건설하는 체육시설은 토지를 100% 확보하지 않으면 사업이 불가능하다. 18홀 골프장을 건설하기 위해 산지 30만평 이상의 대규모 토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허가 요건을 충족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셈이다. 실제로 부지를 95% 매입해놓고도 나머지 5%를 확보하지 못해 사업을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신규 골프장 수가 줄어드는 가운데 골프장의 '수도권 편중' 현상은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수도권 골프장은 2021년 말 197.3개소에서 2026년 말 208.3개소로 11개소 증가하는 반면 부산·경남권 골프장은 2021년 말 63개소에서 2026년 말 78.5개소로 15.5개소 늘어 모든 지역 가운데 가장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골프장 비중은 2021년 말 34.4%에서 2026년 말 32.4%로 2%가량 감소하지만, 부산·경남권 골프장은 2021년 말 11%에서 2026년 말 12.2%로 소폭 상승한다.

서천범 소장은 "대중 골프장의 수익성 하락, 까다로운 인허가 요건 등으로 2027년부터 국내 골프장 수의 증가세는 한풀 꺾일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다만 골프 인구가 풍부하고 사계절 영업이 가능하다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부산·경남권 골프장 수가 가장 큰 증가폭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