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對美 비즈니스 파이프라인 강화하는 바이오 빅2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관세 등 의약품 정책 지각변동
대응 노력위해 경제통 영입·로비 업체 등록
지난해 북미 매출만 1조 넘겨

對美 비즈니스 파이프라인 강화하는 바이오 빅2
AD
원본보기 아이콘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이 대규모 관세 부과를 중심으로 하는 급격한 통상정책 변화를 몰아붙이는 가운데 국내 바이오 '빅2'가 미국 정·재계 등을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로비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나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는 최근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이 전 실장은 기획재정부 요직을 거친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다. 행정고시 32회로 공직에 입문해 국제통화기금(IMF) 선임자문관,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을 거치면서 실력을 인정 받았다. 문재인 정부에서 기재부 1차관에 오른 뒤 청와대 경제수석을 거쳐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을 역임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사진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사진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원본보기 아이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이번 영입은 미국 내 산업 관계기관 등 대미(對美) 네트워크를 빠르게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다. 청와대·기재부의 주요 직책을 거친 이 전 실장이 미국 정계와 제도권 네트워크를 통해 미국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 정책실장급 인사는 대미 카운터파트(상대가 되는 인물)의 급이 장관 이상"이라며 "특히 도널드 트럼프 1기, 조 바이든 행정부 인사 등과 두루 교류한 점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업에도 일정 부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전 실장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이의 직접적인 인연도 눈길을 끈다. 코로나19 펜데믹 당시인 2021년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 백신 파트너십 의제화의 실무를 이끈 이가 이 전 실장이다. 정상회담 기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와 완제의약품(DP) 위탁생산 계약을 맺었는데 일각서 '단순 병입작업'이라는 주장이 나오자 이 전 실장은 한 라디오에 출연해 "백신 원액을 들여와 완제품을 만드는 것은 결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며 "주요 백신기술을 지닌 외국기업과 우리 바이오 의약품 생산업체 사이의 관계가 깊어질수록 라이선스나 직접투자 등으로 협력 수준을 높여갈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DP 생산은 무균 충전 등 관련 작업의 난도가 매우 높아 수백만~수천만 바이알(주사액을 담는 유리용기)의 대규모 생산을 할 수 있는 기업이 손에 꼽히는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


셀트리온 은 미국 법인을 통해 지난해 4분기 현지 로비 업체 '블루버드'와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셀트리온이 미국 로비업체와 계약한 것이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의회의 공개 로비 정보 등에 따르면 해당 업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규제 문제, 바이오 시밀러 관련 쟁점 등을 다룰 것으로 보인다. 블루버드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바이오 분야의 효과적인 로비와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며 "입법 및 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주도할 수 있도록 파트너와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블루버드의 대표인 케빈 브레넌은 미국 하원의원인 로사 델라우로의 수석 보좌관을 지냈고 글로벌 제약사 암젠에서도 근무했다.

인천 송도 셀트리온 2공장 전경./인천=김현민 기자 kimhyun81@

인천 송도 셀트리온 2공장 전경./인천=김현민 기자 kimhyun81@

원본보기 아이콘

법안이나 정책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려는 로비는 미국에서 합법이다. 로비의 주체, 로비스트, 로비 금액 등은 의회 홈페이지 등을 통해 일반에 공개된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전방위적인 '관세 전쟁'에 돌입했다. 그간 관세에서 자유로웠던 의약품에 다음달 2일부터 25%의 관세 부과를 공언한 상태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약가 인하를 위해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지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품목 허가가 활발해지고 시장이 보다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바이오 빅2의 북미 매출은 각각 1조원을 넘어섰다.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시장인 미국의 중요성과 상호 의존성이 그만큼 커졌다는 의미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