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등으로 사할린에 이주했던 1세대 동포와 그 후손 270명이 올해 처음으로 영주귀국한다. 100세의 고령자도 포함됐다.
9일 재외동포청에 따르면 최군자(92) 할머니 등 사할린동포 100명은 이날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에서 24시간 여객선을 타고 강원도 동해항 국제여객터미널을 통해 단체 입국한다. 이손귀(100) 할머니 등 170명은 고령 등 상황을 고려해 개별 입국한다. 지난해 사할린동포 영주귀국 및 정착·생활안정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이들이다.
영구귀국 사업을 주관하는 재외동포청과 대한적십자사는 이날 국제여객터미널에서 단체입국 환영식을 개최한다. 행사에는 변철환 재외동포청 차장, 박은영 대한적십자사 본부장 등이 참석해 약 80년 만에 고국 땅을 밟는 동포들을 맞이할 계획이다. 환영식 후 동포들은 전국 각지로 이동해 정착하게 된다.
변 차장은 "설렘과 함께 걱정도 크겠지만, 조국에서의 새로운 시작이 외롭지 않도록 대한민국 정부가 언제나 사할린동포 여러분과 함께 할 것"이라며 "국내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사할린동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사할린동포들의 귀국은 단순한 귀국이 아니라, 역사적 아픔을 치유하고 회복하는 연대의 과정"이라며 "대한적십자사는 이들의 귀국과 정착을 지난 수십 년간 지원해 왔으며, 동포들이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사할린동포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일제강점기 때 사할린에 이주했으나 광복 이후 고국으로 귀환하지 못한 동포와 그 가족의 국내 정착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관련법 일부 개정으로 영주귀국 지원 대상이 기존 '직계비속 1명'에서 자녀로 확대됐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