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의 10% 미만으로 급감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지난 2월 병원을 떠난 후 빅5 병원들(서울성모·삼성서울·서울아산·세브란스·서울대병원)에서 전체 의사 중 전공의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빅5 병원 전체 전공의 수는 238명이다. 이들 병원에는 전공의가 2022년 2437명, 2023년엔 2742명 있었다.
그러나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면서 올해 빅5 병원 전공의 수가 예년의 10%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전공의가 줄면서 올해 빅5 병원 전체 의사 인력은 4463명으로, 2022년 6591명, 2023년 742명에 비해 30% 넘게 감소했다.
병원별로 보면 삼성서울병원 전공의는 작년 525명이었으나 올해 46명에 그쳤다. 서울대병원은 740명에서 70명으로, 세브란스병원은 612명에서 49명으로, 서울아산병원은 578명에서 35명으로, 서울성모병원은 287명에서 38명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빅5 의사 중 40% 안팎을 차지하던 전공의 비중도 5% 내외로 대폭 떨어졌다.
서울대병원은 전공의 비율은 작년 46.2%로 빅5 병원 중 가장 높았는데, 올해 들어 7.5%로 감소했다. 삼성서울병원 역시 38.0%에서 5.2%로 급감했다. 더불어 세브란스병원은 40.2%에서 5.1%로, 서울아산병원은 34.5%에서 3.2%로, 서울성모병원 33.5%에서 6.4%로 전공의 비율이 크게 줄어들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尹, 헌재 출석 때 '출장 스타일링' 요구, 법무부...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