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보다 '암 사망률' 낮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강희택 세브란스 교수,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암 환자의 사망률이 국민건강보험 유형과 보험료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AD
원본보기 아이콘

강희택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신진영 건국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암 사망률이 건강보험 유형과 건강보험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보험 유형과 보험료가 암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에서 2007년부터 1년간 암 진단을 받은 환자 11만1941명을 직장가입자(7만6944명)와 지역가입자(3만4997명)로 구분한 뒤, 각 가입자 유형을 보험료 납입료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눠 사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직장가입자는 지역가입자에 비해 전체 사망률이 0.940배였으며, 성별로는 남성에서 0.922배, 여성에서 0.925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가입자 중 보험료 납입료 상에 해당하는 경우의 암 사망률은 하에 해당하는 집단보다 남성은 0.880배, 여성은 0.883배였다.

이러한 양상은 지역가입자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상에 해당하는 남성과 여성의 암 사망률은 하에 속한 경우보다 각각 0.730배, 0.777배 낮았다.


연구팀은 직장가입자는 정기적으로 암 검진을 받고, 예측 가능한 수입으로 인해 의료접근성이 높으며, 실비보험으로 의료비 부담이 줄어든다는 점을 원인으로 짚었다.


강 교수는 "경제적 수준에 따라 암 사망률이 차이를 보이는 건강 불평등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제한된 의료자원의 적절한 분배와 건강 관리를 위한 정책적이고 법률적인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맞춤 의학 저널(Journal of Personalized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