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 중독 위험군이 3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도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중1·고1 학생 87만7660명 중 2만8838명(3.3%)이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중학생(1만6309명·3.7%)이 고등학생(1만2529명·2.9%)보다, 남자가 여자보다 위험군이 많았다. 사이버도박 위험군의 44.5%에서는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이 함께 나타났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진단된 청소년은 조사 대상 127만6789명 중 18.1%(23만634명)였다. 이런 비율은 지난해(18.5%)보다는 0.4%포인트 낮은 것이다. 중학생(9만730명·20.6%), 고등학생(7만4777명·17.1%), 초등학생(6만5127명·16.3%) 순으로 과의존 위험군 학생이 많았다.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은 저연령화 추세를 보였다. 중학생은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이 전년보다 4388명 늘었고 그 비율도 전년 20.5%에서 20.6%로 소폭 확대됐다. 초등학생의 경우 과의존 위험군 수는 7만1262명에서 6만5127명으로 줄었으나, 조사 참여 인원이 감소해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16.0%에서 16.3%로 증가했다.
여가부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해제되고 등교가 재개된 이후로 온라인 수업이 줄어들면서 청소년들의 인터넷 과의존이 전반적으로 완화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초등학생과 중학생 과의존 위험군이 늘어난 건 미디어 과의존 저연령화 추세가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