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이 바이오의약품 개발과 생산 역량을 토대로 대규모 위탁생산(CMO)와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한미약품은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2023 바이오 유럽 스프링 콘퍼런스'에 참가해 다수 글로벌 제약사와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바이오 유럽 스프링은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과 관련 투자자들이 네트워크를 쌓고 파트너십을 추진하는 행사다. 올해는 노바티스, 로슈, 일라이 릴리, 화이자 등 전 세계 기업에서 30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약품은 업체별 개별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상업 생산에 최적화된 평택 바이오플랜트의 첨단 대형제조설비(최대 1만2500ℓ규모 배양기)와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화된 인력 및 시스템 등을 알리며 적극적으로 수주 활동을 펼친다.
한미약품은 신약 개발 전문 기업으로서 축적한 개발 역량과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제조 능력을 통해 CMO와 CDMO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워나간다는 계획이다.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현재 완제의약품 기준으로 연간 2000만개 이상의 프리필드 시린지 주사기를 제조할 수 있는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2018년 완공된 바이오플랜트 2공장에는 CMO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비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갖춰 대규모 발주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동물세포 배양 기반의 설비를 갖춘 국내 주요 회사들과는 달리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미생물 배양을 이용하는 제조설비를 갖춰 빠르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것도 차별점이라고 한미약품은 강조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새롭게 주목받는 DNA 및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도 대규모로 제조할 수 있다.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작년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 허가를 받은 바이오 신약 '롤베돈(한국명 롤론티스)'을 생산해 미국 현지에 공급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인 미국 MSD가 개발 중인 NASH 치료 후보 물질의 임상용 제품 역시 공급하고 있다.
김세권 한미약품 이사(바이오제조개발팀)는 "롤베돈의 미국 시장 진출을 통해 확인한 바이오의약품 대량생산 및 품질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CMO 비즈니스를 펼쳐 나갈 계획"이라며 "해당 분야를 한미약품그룹의 새로운 신성장 동력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