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광주실천교육교사모임, 제31회 김용근교육상 수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5·18 잇는 민주교육 실천…“교사가 주체”
김이수 “희망의 교육…시대와 역사 잇는다”

제31회 김용근 교육상 시상식이 14일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김용근 선생 흉상 앞에서 열렸다. 이날 수상의 영예는 현장 교사들의 자율적이고 공동체적인 교육 실천을 이어온 '광주실천교육교사모임'에게 돌아갔다.

14일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김용근 선생 흉상 앞에서 열린 제31회 김용근 교육상 시상식. 김용근기념사업회 제공

14일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김용근 선생 흉상 앞에서 열린 제31회 김용근 교육상 시상식. 김용근기념사업회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김용근 교육상은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이자, 해방 후 민족자주교육에 헌신한 김용근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1995년 제정됐다. 매년 자주적 민족교육, 참여형 민주교육을 실천한 개인 또는 단체를 발굴·격려하고 있으며, 올해로 31회를 맞았다.


김용근 기념사업회 이사장인 김이수 전 헌법재판관은 "김용근 선생이 강조한 자주성과 역사성을 생생히 실천해온 단체"라며 "교사들이 주도해 교육의 방향을 바꾸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교육의 희망을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광주실천교육교사모임 회장 이해중 교사는 "지역과 역사를 잇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사회를 이해하고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