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 영풍·MBK 측 주장 반박
"사업적 측면 배제한 사실 왜곡"
"글로벌 공급망 구축 위한 전략"
고려아연 은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영풍 과 MBK 파트너스와의 경영권 분쟁 이후 거액을 들여 일부 미국 정치인을 대상으로 대관캠페인을 벌여왔다는 주장을 전면 반박했다. 로비 계약은 경영권 분쟁이 발생하기 이전인 2023년 12월의 일이며,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컨설팅 목적으로 체결한 계약이라는 설명이다.
24일 고려아연은 경영권 분쟁 중 최 회장이 거액의 회삿돈을 들여 미국 정부를 상대로 로비했다는 영풍·MBK 측 주장에 대해 “완전히 허위 주장”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최초 로비 계약을 맺었던 것은 2023년 12월 18일로, 영풍·MBK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가 발생하기 한참 전의 일”이라며 “영풍·MBK가 주장하는 지난해 10월 9일과 지난 1월 21일 지출 내역은 계약 이후 주기적으로 비용이 집행된 것일 뿐”이라고 했다.
로비 목적에 대해 고려아연은 보도자료를 통해 “당사는 미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자원순환 사업을 비롯해 니켈 등 이차전지 소재, 당사의 다양한 포트폴리오 제품에 대한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미국 연방 정부, 싱크탱크의 동향 파악과 컨설팅을 목적으로 해당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그런데도 영풍·MBK에선 이런 사업적인 측면을 완전히 배제하고, 최 회장 개인의 경영권 방어를 위한 로비였다고 사실을 왜곡했다”며 “이 같은 주장은 미 국무부의 입장과 미국 의원들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공식 서한을 통해 고려아연에 대한 사모펀드의 적대적 M&A 시도가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위협이 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탈 중국 공급망 구축이 중요해진 상황을 거론하며 “미국은 한국과 긴밀히 협력해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오는 28일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의 분수령인 정기 주주총회가 열린다. 이번 주총에서 영풍·MBK 측과 최 회장 측 가운데 어느 쪽이 승기를 잡을지 관심이 쏠린다. 특히 영풍의 의결권 행사 여부를 정할 법원의 가처분 결과에 따라 양측 셈법이 달라질 전망이다. 가처분이 기각되면 영풍·MBK는 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며 최 회장 측은 이사회 주도권을 계속 이어갈 수 있다.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