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0.01나노미터 정밀 조절로 자연계 0.015%뿐인 중수소 골라낸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UNIST·서울대 연구진, 이온치환으로 다공성 MOF 소재 기공 정밀 조절 보고

중수소 분리에 최초 적용·분리효율 2배 향상, Angew. Chem. Int. Ed. 게재

다공성 물질의 기공을 0.01 나노미터(10-9m) 단위로 조절하는 기술이 나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자연계 전체 수소 중 0.015%만 존재하는 데다 일반 수소와 성질이 비슷해 분리가 까다로운 중수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다.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핵융합발전, 반도체 공정 등에 쓰일 수 있는 핵심 자원이다.

UNIST 화학과 오현철 교수팀과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은성 교수팀은 이온교환방식을 통해 다공성 물질인 금속 유기 골격체(MOF)의 기공을 0.01 나노 단위까지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고 12일 전했다.


오현철 UNIST 교수.

오현철 UNIST 교수.

원본보기 아이콘

또 이 같은 초미세 조절로 금속 유기 골격체의 중수소 분리 효율이 2배 가까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 저널 앙게반테케미(Angew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IF 16.1)에 지난달 12일 게재되며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이은성 서울대학교 교수.

이은성 서울대학교 교수.

원본보기 아이콘

다공성 신소재인 금속 유기 골격체의 기공을 활용하면 중수소와 수소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 역할을 하는 기공 크기를 잘 맞춰야 하는데, 수소와 중수소 모두 그 크기가 0.3나노미터 수준으로 작기 때문에 0.01나노미터 수준에서 초정밀 조절이 이뤄져야 한다.

공동연구팀은 금속 유기 골격체인 JCM-1 소재의 이온을 질산염(NO₃?)이온에서 염화물이온(Cl?)로 교환해 기공 입구의 크기를 약 0.39 나노미터에서 0.36 나노미터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염화물이온이 질산염이온보다 기공과 연결된 외부 골격체를 더 강하게 안쪽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그 결과 기공 입구 크기가 변화했다고 분석했다.


입구가 줄어든 JCM-1(Cl?)은 그렇지 않은 JCM-1(NO₃?)보다 중수소 분리 효율인 선택도가 14.4에서 27.7로 증가해 2배 가까이 향상됐다.

이온 교환 방식을 통한 다공성 물질의 기공조절과 중수소 분리 개념도.

이온 교환 방식을 통한 다공성 물질의 기공조절과 중수소 분리 개념도.

원본보기 아이콘

JCM-1(NO₃?)도 기존 24K(-249.15°C)에서 이뤄지는 극저온 증류방식과 비교하면 9배 이상 뛰어난 선택도를 보였다. JCM-1(Cl?)의 선택도를 기존 극저온 증류방식과 비교하면 약 18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JCM-1은 이은성 교수팀에서 개발한 소재이다.

김현림 연구원.

김현림 연구원.

원본보기 아이콘

제1저자인 김현림 연구원은 “JCM-1(Cl?)은 기존의 24K(-249.15°C)에서 이뤄지는 극저온 증류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50K( -223.15°C)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해 핵융합, 반도체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잠재력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UNIST 오현철 교수는 “이번 성과는 다공성 물질의 나노 기공 크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며, 동위원소 분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스 분리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중견연구와 기본연구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