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與 "尹퇴진, 탄핵보다 빠르고 명확한 시점 공감대 형성"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양수 "이재명 사법리스크 관련 없어"

국민의힘은 10일 윤석열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과 관련해 논의했지만 정확한 일정에 대해 확정하지 못한 채 탄핵보다 빠르고 명확한 시점이라는 데만 공감대를 형성했다.


국민의힘 정국안정화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이양수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진행된 비공개 비상의원총회 직후 '윤 대통령의 퇴진 시점'에 대해 기자들이 묻자 이같이 답했다.

이 의원은 "(의총에서 의원들이) 다양한 의견을 줬고 이를 지도부에서 향후 대응 방안과 계획을 수립하는 데 참고로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도부에서 (이를) 참고해서 대통령실과 상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이 조기퇴진보다 국회 탄핵안 통과를 선택해 헌법재판소로 가겠다며 당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만 답했다.


이날 의총에선 TF에서 마련한 '2월 하야 후 4월 대선', '3월 하야와 5월 대선' 두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즉각적인 하야' 의견에 대해선 "즉각 하야는 60일 후에 대선"이라며 "양당 모두 대선 후보를 선출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탄핵이 낫다는 의견이 있었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 의원은 "의총에서 하야보다 탄핵이 낫다는 의견은 없었다"며 "질서 있는 퇴진으로 의견을 모았는데 이는 곧 하야를 의미한다. 현재 질서 있는 퇴진이 탄핵으로 바뀐 것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재판 상황을 고려해 윤 대통령의 퇴진을 지연시키는 것이냐는 지적에는 "사법 처리가 끝나려면 6월 정도 돼야 (여당 내부 논의 중인 2~3월 퇴진에 따른) 대선 시점은 4~5월로 예정된다"면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와는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 탄핵안 표결을 오는 14일 재차 추진할 계획인데 국민의힘은 13일까지 협의를 할 방침이다.

이양수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김현민 기자

이양수 국민의힘 정국 안정화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이 10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김현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