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 오픈AI가 9일(현지시간)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소라(Sora)'를 본격 출시했다. 지난 2월 첫 공개 이후 10개월 만이다
소라는 이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텍스트나 이미지, 동영상으로 입력하면 그에 맞는 고화질 동영상을 생성하는 AI 모델이다.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은 물론, 기존 동영상을 확장하거나 빠진 프레임을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온라인으로 중계된 소라 시연에서 두 이미지를 결합해 동영상을 생성하는 '블렌드(Blend) '기능을 선보여 눈길을 끌기도 했다.
오픈AI는 그동안 한정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소라의 안전성을 테스트해 왔다. 지난 2월 공개 당시엔 소라가 "여러 캐릭터와 특정 유형의 동작, 복잡한 장면 등 최대 1분 길이의 동영상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오픈AI는 이번에도 "소라가 당신의 상상을 텍스트나, 이미지, 동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소라는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날부터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유럽과 영국에서의 출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들 지역에서 IT 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하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소라는 '챗GPT 플러스' 및 '챗GPT 프로' 구독에 포함돼 기존 챗GPT 유료 이용자들은 추가 비용을 지불할 필요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소라가 시장에 참전하면서 동영상 AI 모델을 둘러싼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 간의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은 앞서 기업용 비디오 생성 AI 모델인 '비오(Veo)'를 출시했고,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은 지난 10월 '무비 젠(Movie Gen)'을 선보였다. AI 스타트업 런어웨이는 지난 7월 AI 모델 '젠-3 알파'를 공개했다.
오픈AI 소라 제품 책임자인 로한 사하이는 "우리는 분명히 큰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며 "소라와 관련한 법적 문제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용자들의 창의적 표현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CNBC는 선거의 해를 맞았던 올해 AI 생성한 딥페이크 수가 전년 대비 900% 늘었다는 데이터를 인용하며, 동영상 생성 AI 시장이 기업들의 새로운 법적, 윤리적 전선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를 등에 업은 오픈AI는 지난 10월 빅테크 및 투자회사들로부터 66억달러(약 9조원)를 유치하며 최근 기업가치를 1570억달러(약 225조원)로 평가받았다. 블룸버그는 "생성형 AI가 기술 업계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광고 및 게임 부문 매출을 연평균 약 43% 성장시키고 있다"며 2032년까지 생성형 AI 시장 규모가 1조3000억달러(약 1862조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이준석 "부정선거 1대1 토론하자" vs 황교안 "아예...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