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이든, 하야든 최대한 빨리 책임져야"
시즌2서 찬반 투표 부각 "현실과 연결돼"
"'오징어 게임'을 보는 일이 이 세상을 바라보는 것과 딱히 동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2 공개를 앞둔 황동혁 감독의 말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탄핵 부결 등으로 드러난 갈등, 분열, 격변 등을 가리키며 "'오징어 게임' 속 장면들과 연결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9일 서울 동대문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오징어 게임' 시즌2 제작발표회에서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믿을 수가 없어서 잠을 안 자고 계속 TV를 봤다.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일로 온 국민이 공포와 우울감 속에 연말을 보내야 하는 것이 화가 난다"고 말했다. 이어 "탄핵이든, 하야든 최대한 빨리 책임질 분이 책임을 지고 행복한 연말을 국민에게 돌려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오징어 게임'은 심각한 사회 문제와 갈등이 담긴 작품이다. 황 감독이 전 세계에서 종교, 이념, 배경, 성별, 인종 등으로 일어나는 분열과 갈등, 증오를 빗대어 표현했다. 그는 시즌2에서 갈수록 격화되는 흐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대표적 장치가 투표다. O와 X로 나뉜 집단들이 어떻게 갈라지고, 어떻게 서로를 증오하고, 대립하고, 갈등하는지를 집중적으로 묘사했다.
황 감독은 "요즘 투표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며 "시즌1에서 잠깐 소개된 찬반 투표가 시즌2에서는 매 게임 진행되며 중요하게 다뤄질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투표와 현실을 연결해서 생각하면 재밌는 부분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전작보다 낮아진 게임 참가자들의 연령대를 꼽았다. 그는 "시즌1 각본을 쓸 때까지만 해도 사회적 실패를 겪고 빚을 지려면 나이가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지난 몇 년 동안 코인(가상화폐) 열풍에 젊은 층이 노동으로 돈을 버는 것을 포기하고 일확천금에 기대는 것을 느꼈다. 이들의 문제를 담아내려고 젊은 참가자들을 기용했다"고 부연했다.
'오징어 게임' 시즌2는 지난 시즌과 이야기 구조도 다르다. 시즌1에서는 밑바닥 인생인 성기훈(이정재)이 일확천금을 노리고 게임에 참여했다. 시즌2는 수백억 자산가가 된 그가 게임을 멈추려고 안간힘을 쓰는 내용이다.
황 감독은 "이 게임을 누가 벌이는지 찾아내고, 이를 멈추려는 성기훈과 그를 막아서고 붕괴시키려는 프론트맨(이병헌)의 대결이 핵심 이야기"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도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갈라서고 분열하고 서로를 적대시하는 인간을 보면 현실과 '오징어 게임'이 닮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사회, 이 세상을 '오징어 게임'으로 돌아볼 기회가 생기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국 큰손들과 '손절' 합니다"…작심한 업계 1위 롯데면세점, 이유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11310221986220_173673134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