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철 원전의 가동기수와 전력 발전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여름철 전력 최대수요 시 원전 발전량은 21.9GW, 가동기수는 21기로 모두 역대 여름철 최고치다. 피크 기여도(23.4%)는 2016년(23.6%) 이후 최고 실적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작년 12월 신한울 1호기가 가동을 시작하는 등 올여름 원전 최대가동으로 전력수급이 안정화에 크게 기여했다"며 "원전 피크 기여도는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폭등한 지난해보다도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 여름철 전력수요 피크는 8월7일 오후 5시, 93.6GW로 역대 여름철 전력수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전력수급은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이번 피크 때는 지난해보다 4.6GW 많은 104.3GW의 공급능력을 확보했다. 원전과 석탄, LNG, 신재생 모두 공급능력 증가에 기여했다. 다만 피크 시점의 실제 발전량을 기준으로 본다면 원전과 신재생은 전년보다 증가한 반면, 석탄과 LNG는 감소했다. 특히 태양광 발전량이 지난해 피크(7월 7일 오후 5시) 때는 1.0GW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2.5GW로 크게 늘었다.
태양광 비중이 커지면서 전력수요의 변동성도 높아졌다. 2020년에는 17GW 수준이던 태양광 설비용량은 현재 27GW를 넘어선 것으로 산업부는 추산하고 있다. 태양광은 날씨가 좋을 때는 전력수요를 분담하는 효과가 있지만, 날씨에 따른 변동성이 크고 예측 가능성이 낮아 수급 관리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피크를 기록한 8월7일에도 수도권은 고온다습한 가운데 태양광이 밀집한 호남지역에 국지성 호우가 발생하면서 태양광 이용률이 낮아지고 전력수요가 예상보다 높아진 바 있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관은 "안정적 수급관리를 위해 재생에너지의 예측 가능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면서 "각각의 발전원이 가진 특성이 다양하므로 합리적인 전원 믹스를 도출해 차기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