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류 기반 신산업 통한 수산업 지속가능성·식량안보 방안 논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지난 17일 스페인 라스팔마스 데 그란카나리아 대학교(ULPGC)에서 '한-라스팔마스 국제 협력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전했다.
이번 세미나는 기후위기와 국제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해 해조류 기반 신산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 및 식량안보 확보를 주제로 열렸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014년 ULPGC와 첫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2023년 갱신을 통해 유럽-아프리카 간 해양수산 분야의 공동연구와 교류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이날 행사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을 비롯해 스페인 ULPGC, 라스팔마스 정부,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주라스팔마스 대한민국 분관, 카사 아프리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 가나 수산회, 라스팔마스 한인연합회 등 국내외 해양수산 관계기관이 참석해 국제 협력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나눴다.
개회식에서 류이스 세라 마젬 ULPGC 총장은 "코로나19로 잠시 중단됐던 협력이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더욱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라스팔마스 대한민국 분관의 고문희 총영사는 "카나리아 제도는 1966년 한국의 원양어업 진출 이래로 한국과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해왔다"며 양국 간 지속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카롤리나 다리아스 라스팔마스 시장은 "라스팔마스는 아프리카 진출을 위한 전략적 교두보로, 향후 한국-스페인-아프리카 간 삼각 협력 체계 구축이 더욱 공고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제발표에서는 OECD가 아프리카 식량안보 실태를 소개하며 맞춤형 인프라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이어진 세션에서는 ▲아프리카 수산 ODA 사례 ▲틸라피아 양식 현황 ▲해조류 산업의 미래 전망 ▲국제협력 사례 등이 발표됐다.
카나리아 제도에는 700여종의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100여종은 식용 가능해 해양 생물자원으로서의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가자들은 이 지역의 해조류 생태자원과 산업적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해조류를 활용한 탄소 저감 및 블루카본 기반 탄소 크레딧 분야에서의 공동 연구 및 실천 필요성에 공감했다.
조정희 KMI 원장은 "수산업과 식량안보 역시 전 지구적 위기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이번 세미나는 해조류 신산업의 가능성을 조명하고, 한국과 스페인, 아프리카가 지속가능한 수산업 및 식량안보 문제 해결을 위해 연대와 협력할 수 있는 뜻깊은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