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AI반도체 분야 총 2434억원 투자
3년간 대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
팹리스 사업화 전방위 지원
정부가 국산 AI반도체(NPU) 산업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494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투입한다. 그간 기술개발 이후 실증과 사업화 단계에서 지원 공백이 지적돼 온 만큼, 이번 추경은 '팹리스 기업 갈증 해소'에 초점이 맞춰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AI반도체 분야 추경 사업 공고를 내고, 실증 인프라 확충과 제품화 지원 등 5개 분야의 과제를 다음달 30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AI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해 올해 총 2434억원을 연구개발(R&D)부터 인재양성까지 전 주기에 걸쳐 투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추경 사업에는 AI컴퓨팅 실증 인프라 고도화(120억원), 국산 AI반도체 기반 디바이스 AX 개발·실증(60억원), AX 실증 지원(40억원), AI-반도체 해외 실증 지원(54억원), AI반도체 사업화 적시 지원(220억원) 등이 포함됐다.
먼저 국산 NPU 기반의 AI컴퓨팅 실증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안으로 50PF(페타플롭스) 규모의 LLM(거대언어모델) 실증 인프라를 마련하고, 2026년부터 3년간 이를 120PF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소규모 검증 단계를 넘어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국산 칩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상용화된 AI서비스를 국산 AI반도체 기반으로 전환하는 'AX 실증' 사업도 있다. 향후 2년간 총 4건의 실증을 통해 지역 산업과 연계된 AI서비스를 국산 칩 기반으로 구현하고, 전국 단위 확산을 유도할 예정이다.
220억원은 'AI반도체 사업화 적시지원'에 투입된다. 제품 제작, 칩 카드 구현, 서버 검증 등 전 주기 과제를 바우처 방식으로 지원하고, 맞춤형 컨설팅도 병행해 팹리스 기업의 조기 시장 진입을 돕겠다는 방침이다. 시제품·양산품 제작 지원 대상은 이번 공고에서 모집하며, 설계 소프트웨어(SW) 수요 기업은 내달 별도 공고를 통해 선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광주 AI집적단지 등에 구축한 AI반도체 검증체계를 활용해 카드·서버 단위의 안정성·신뢰성 테스트도 제공할 예정이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그간 업계와의 간담회 등을 통해 실질적 정책 수요를 반영해 왔다"며 "국산 AI반도체가 골든타임 내 상용화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