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김용태 발언 놓고 온도차 확인
신동욱 "각자 말 그대로 받아달라" 해명
과거 박근혜 출당은 대선 이후 진행
국민의힘이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상황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 문제를 두고 내홍을 겪고 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5일 윤 전 대통령 탈당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라며 "대선후보가 '탈당하라,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층 등을 고려해 당이 박절하게 끊어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다.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에 유보적인 대선 후보와 달리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대통령을 찾아뵙고, 당과 대선 승리를 위해 (자진 탈당을) 결단해줄 것을 요청하겠다"고 했다. 당 내에선 자진 탈당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침묵으로 사실상 이를 거부했다.
김 후보는 기존 지지층을 끌어안기 위해 윤 전 대통령에 유보적인 입장을 밝히고, 김 비대위원장은 중도층 확장을 위해 결단을 촉구하는 쪽으로 '역할' 분담에 나섰다는 시선도 있다. 문제는 어선한 당 분위기가 이 문제로 더 분열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국민의힘이 '탈당' 늪으로 빠지면서 보수층 단합과 지지율 반전을 모색하기 어려워졌다는 진단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위장 탈당 쇼'로 규정하며 비판의 소재로 삼고 있다. 박경미 민주당 대변인은 "국민의힘의 위장 탈당 쇼는 내란 세력이 벌이는 국민 기만 공작에 불과하다"이라며 "윤석열, 김문수, 친윤 국민의힘은 결국 한 몸"이라고 꼬집었다.
국민의힘은 과연 윤 전 대통령과 갈라설까. 갈라선다면 언제쯤일까.
과거에도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갈라선 경험이 있다. 하지만 시점은 대선이 아니라 대선이 한참 지난 뒤였다. 홍준표 당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는 "춘향인 줄 알고 뽑았더니 향단이었다"며 박 전 대통령의 국정을 비판했다. 하지만 선거가 본격화되자 "정치적으로는 사체가 돼버렸는데 다시 등 뒤에서 칼을 꽂는 건 사람 도리가 아니다"라며 출당 문제에 대해 말을 아꼈다. 결국 박 전 대통령 출당은 대선이 끝나고 난 뒤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야 이뤄졌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