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베이비붐 세대 대규모 은퇴 대응
최근 50대 고용률이 12개월 이상 하락하는 등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50대가 늘어나자 정부가 지원 방안을 내놨다. 50대 맞춤형 일자리를 발굴하고 직업훈련과 일경험 기회를 확대해 전방위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예고했다.
고용노동부는 15일 이 같은 내용의 '50대 취업지원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50대의 안정적인 재취업을 위해 취업하기 적합한 일자리를 발굴하는 작업부터 직업훈련과 일경험, 취업 알선까지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50대 맞춤형 일자리 발굴을 위해서는 취업률이 높거나 임금 수준이 적정한 유망 자격을 분기별, 지역별로 발표하기로 했다. 고용부는 국가기술자격 데이터를 분석해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전기기능사 등 초심자가 취득하기 쉽고 취업률도 높은 5개 추천 자격을 추려 이번 방안에 포함했다. 권역별 일자리 수요 조사와 기업 현장 조사를 병행, 이를 반영한 맞춤형 일자리 컨설팅도 제공하기로 했다.
또 자격취득이나 실무 기술과 관련이 있는 한국폴리텍대학 신중년특화과정을 활용해 올해 7500명에게 훈련 기회를 제공한다. 재직 중인 이·전직 희망자를 위해 주말과 야간 과정도 운영할 계획이다. 유망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등의 다양한 훈련 과정도 개설한다.
일자리 경험 지원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경력을 쌓는 기회를 제공하는 경력지원제를 운영한다.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올해 지원 대상은 910명에서 20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참여하는 50대에게는 월 최대 150만원, 참여 기업에는 40만원을 최대 3개월간 지원할 예정이다.
통합적인 취업 지원 과정에서는 지역 중장년 고용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지방자치단체 일자리센터와 폴리텍대학, 새일센터 등과 협력해 개인 및 기업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마을버스 등 구인난을 겪는 일자리에 유관기관 간 연계 방식으로 인력 매칭을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하는 식이다.
김민석 고용부 장관 직무대행은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이고 954만명의 2차 베이비붐 세대(50대)가 대규모 은퇴를 앞두고 있다"며 "최근 12개월 이상 50대 고용률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 추세를 보이는 등 노동 시장 불안정성이 나타나 이들을 위한 취업 지원 정책이 중요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이어 "앞으로도 일자리 발굴과 훈련, 일경험, 취업 지원 등 전방위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했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고생 애들 학교는? 집은 어쩌나"…해수부 부산행에 직원 86% 반대하는 이유[관가 in]](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61310470097193_174977922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