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욱 / 전남 완도군의회 의원
최근 충북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참혹한 사고는 단순한 지역적 사건을 넘어 우리 사회 전체에 깊은 충격을 안겼다.
이제 우리는 이와 같은 사건을 개인의 일탈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분명한 사회적 신호이며, 인성교육의 실질적 확대와 정책적 전환이 시급한 시점임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빠르게 삶의 양식을 바꾸는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분명 우리에게 많은 편의와 기회를 제공했지만, 동시에 개인주의와 물질만능주의를 심화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약화시키며 인간 소외 현상을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학교 부적응, 심지어 자살률 증가와 같은 위험에 지속해서 노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인간 고유의 가치를 지키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강하게 시사한다.
지난 2020년 9월부터 시행된 인성교육진흥법은 인성교육을 '예(禮), 효(孝),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 사람됨과 관련된 핵심 가치와 덕목을 기르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법 시행 5년이 지난 지금도 공교육 현장에서 인성교육은 체계적으로 정착되지 못한 채 부수적 교육으로 취급받고 있다.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 간 연계도 미흡한 현실이다. 무엇보다 많은 고등학교가 '인재 양성'이라는 명분 아래 조기 졸업, 명문대 진학률 제고에만 집중하고 있고, '성적 중심 교육'이 교육의 전부인 양 받아들여지고 있다. 물론 학업 성취는 중요한 교육 목표 중 하나다.
그러나 우리는 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지식 축적을 넘어 바른 인성을 갖춘 건강한 사회 구성원을 길러내는 데 있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 이제는 지역사회가 한 발 앞서 나가야 한다.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된 시각과 방식으로 입시위주 교육과 인성교육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하며, 진정한 의미의 인재를 키워내야 할 때다. 인성은 단기간에 길러지는 것이 아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교육정책 변화를 제안한다.
첫째,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사회단체가 적극 협력해 인성교육이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 전반에 안착할 수 있는 교육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인성교육은 특정 기관만의 책임이 아니다.
둘째, 교육지원청은 인성교육진흥법에 기반한 실효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인성교육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전문인력 양성과 배치를 통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인성교육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 연수, 부모 교육, 지역사회 협력 체계 구축을 병행해야 한다.
청주의 비극이 더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실천적 변화로 나아가야 할 시점이다. 교육의 목표는 지식만이 아닌 사람을 기르는 일이다. 건강한 시민을 양성하는 일이야말로 우리가 미래 세대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유산이 될 것이다.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상폐될까봐 '빵공장' 사들였다…신약개발 대신 '장사' 택한 바이오 유망주[바이오 꿈 꺾는 상장규제]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61810355312508_1750210552.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