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골재 대비 수명 2배
미세먼지·소음 감소 효과
포스코 광양제철소(소장 고재윤)가 제철소 내 도로포장을 위한 아스팔트 골재로 제강 슬래그를 적용하며 순환경제사회 구현에 적극 앞장섰다.
철강 생산 과정에서 슬래그·슬러지와 같은 여러 부산물이 발생하는데, 이중 쇳물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바로 제강 슬래그(이하 슬래그)다.
이전까지 슬래그는 건설 현장이나 도로의 기초공사 등 제한적 용도로만 이용돼 왔다. 하지만, 슬래그가 천연골재 대비 37% 이상 밀도가 높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규칙적인 표면을 가져 변형에 강하고 맞물림이 좋다는 특징으로 인해 최근 아스팔트 콘크리트(이하 아스콘) 골재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슬래그를 아스콘 골재로 활용할 경우 일반 아스콘 대비 도로 수명이 최대 2배 증가하고, 미세먼지 발생량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뿐만 아니라 차량 소음이 최대 9.3㏈까지 감소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포스코는 이러한 슬래그 장점을 적극 활용하고자 지난해 6월 아스콘 업체에 슬래그를 공급해 국도 3호선 충주 구간 포장에 첫 적용했다. 또 지난 14일 슬래그를 활용한 아스콘을 제철소 내 도로에 자체 적용해 이를 기존까지 사용했던 방식의 아스콘과 성능을 비교한 후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광양제철소는 도로보수 주기 개선뿐만 아니라 기존 천연골재의 슬래그 대체에 따른 천연자원 보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양제철소 관계자는 "슬래그 아스콘은 철강 부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 방안이다”며 “앞으로도 철강 부산물을 적극 활용해 환경적·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할 수 있는 자원순환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허선식 기자 hss7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