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선사고대관 15일 재개관
고구려실 1.7배 확대
어린이 '배움 공간'마련
국립중앙박물관은 선사고대관을 새롭게 단장해 15일부터 관람객을 맞는다. 1층 전시관 전체를 아우르는 명제는 ‘삶의 흔적, 역사가 되다’이다. 환경에 적응하는 인류의 시도와 그런 시도가 낳은 삶의 변화상을 다채롭게 표현했다.
전시관은 2023~2025에 걸친 대대적인 개편으로 크게 변화했다. ▲전시의 입체적 이해를 돕도록 연출 기법을 고도화하고, 전시품 관련 영상과 그래픽을 대폭 확충했다. ▲관람객 관심도가 높았던 고구려실은 1.7배 확대(총 365.2㎡)하고 발굴 자료를 대폭 늘렸다. ▲전시 설명은 이야기체 형식을 차용해 이해도를 높였다. ▲최초로 어린이를 위한 배움 공간도 마련했다.
선사고대관 도입부 대형 벽면에는 지구의 역사 46억년의 역사를 형상화한 영상을 배치했다. 지구 탄생부터 고인류의 등장, 불과 도구의 사용, 협동 사냥과 생존에 이르는 과정을 압축해서 보여준다.
도입부 벽면 양쪽으로 선택 관람이 가능하다. 오른쪽은 선사 영역 전시(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왼쪽은 고대 영역 전시(고조선·부여·삼한, 고구려, 백제, 신라)로 꾸며졌다.
선사 전시의 시작점인 구석기는 영상 자료를 적극 활용했다. 수십만 년 전 뗀석기 전시품 구성의 한계를 재현 영상이나 그림 설명으로 보충했다. 신석기 움집의 삼차원 재현 연출, 동삼동 패총 투사 영상, 가덕도 무덤 연출 등을 선보인다. 청동기실에서는 거대 고인돌이나 껴묻거리가 풍성한 돌널무덤 등에서 공동체 지도자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고대 전시에서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비파형 동검과 세형 동검 등 청동 전시품을 집중 배치했다. 고조선 멸망 전후 등장한 부여, 옥저, 동예와 낙랑 등의 문화를 소개하고, 삼한(마한˙진한˙변한)이 고대 국가로 발전해 가는 과정도 살필 수 있다.
고구려실은 규모감이 커졌다. 무덤 벽화 모사도를 마치 실제 무덤에 들어간 듯한 분위기로 입체감 있게 꾸몄다. 무덤 천장의 모습을 담은 천장도는 이번에 처음 공개됐다. 광개토대왕릉비의 위용을 실감할 수 있도록 탁본(디지털 복원본)도 전용 공간에 마련했다. 경기도 연천 무등리 보루(방어 시설)에서 출토된 고구려 장수 갑옷은 원형이 잘 보존돼 당시 전투 상황을 연상케 한다.
어린이를 위한 시각 전시 공간을 처음 도입했다. 선사/고대 영역에 각 2곳씩 마련해 반응형으로 접하고, 만져볼 수 있도록 했다.
김재홍 국립중앙박물관장은 “모두를 넘어 시대와 가치를 이어주는 융합의 박물관으로 우뚝 서기 위해 선사고대관 개편 과정에서 박물관이 추구하는 핵심 가치를 담으려 노력했다”며 “선사고대관을 관람하며 관람객들이 역사를 머나먼 과거로만 받아들이지 않고,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흔적도 인류의 역사가 된다는 점을 되새겨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