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 추진
우회전 신호등 설치 확대 등 인프라 지원
정부가 어린이와 노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안전관리 대책을 추진한다. 위험도가 높은 도로를 '보행자우선도로'로 추가 지정하고 우회전 사고 다발지점에는 우회전 신호등 설치를 확대하는 방안이 대표적이다.
12일 행정안전부는 '제1차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기본계획'에 따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을 수립해 실행에 나선다고 밝혔다.
우선 보행자 안전을 위한 위해요소 제거에 집중한다. 도시지역 이면도로 중 위험도가 높은 곳은 '보행자우선도로'로 지정하고, 내비게이션을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방식이 확대된다. 또한 우회전 사고 다발지점은 우회전 신호등을 확대 설치하고 교차로에서부터 횡단보도 이격 설치, 속도저감시설 정비 등 보행환경을 개선할 방침이다.
아파트 단지, 대학교와 같은 도로 외 구역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현장별 특성을 고려한 안전대책을 마련한다. 여기에는 차량이 인도로 돌진할 위험이 큰 구간에 대한 대비책이 포함됐다. 차량용 방호울타리를 설치하는 내용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지침' 개정을 추진하는 한편, 보행자가 집중되는 지역은 고속차량을 막기 위한 안전시설을 시범 설치한다.
고령 보행자를 위한 보행신호 자동연장 시스템도 늘어난다.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확충도 함께 추진하는데, 읍·면 지역을 지나는 도로 중 개선이 필요한 곳은 '마을주민 보호구간'으로 지정해 정비한다. 어린이를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내 안전시설 설치도 확대한다. 어린이 보호구역 지정·해제와 유지관리를 위한 '어린이 보호구역 통합관리시스템'이 마련된다.
이밖에 고령 운전자 안전을 위해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기준을 마련하고, 75세 이상 운전자 교통안전교육 과정에 운전능력 객관적 평가 시스템을 시범 도입할 계획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는 OECD 수준까지 감소했으나, 보행자 사망사고는 여전히 높다"며 "정부는 보행약자 안전관리에 중점을 두고 모든 국민께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교통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지방도 냄새 맡았다 주말 강동행…토허제 풀리자 2억 껑충[심상치 않은 집값]](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1700361869739_1742139378.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