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 외신과 인터뷰
"내가 죽을 줄 알았다"
방송인 김어준 씨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시 생존을 위해 자신을 체포하러 온 계엄군을 피해 은신해 있었다고 털어놨다.
10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비상계엄 선포 후 제보를 받고 생명에 위협을 느껴 곧바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은신했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의 요구로 계엄령이 해제된 뒤에도 바로 돌아오지 않고 36시간 동안 조용히 있었다고 했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 4일 오전 0시 40분쯤 김씨의 뉴스 팩토리 스튜디오와 그가 운영하는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 꽃’이 위치한 건물 인근에서는 군인 20여명의 모습이 포착됐다. 김 씨는 "버스 두 대, 트럭 한 대, 지휘 차량 한 대, 그리고 무장 계엄군 몇 명이 사무실에 도착한 모습이 CCTV 카메라에 찍혔다"고 말했다. 그는 계엄군 체포조가 집으로 찾아왔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실제로 곽종근 육군 특전사령관은 이날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지난 1일 김용현 전 국방장관으로부터 국회·선관위 3곳·민주당사·여론조사 꽃 등 여섯 곳을 확보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원 홍장원 1차장도 지난 6일 국회에 출석해 계엄 당일 여인형 방첩사령관으로부터 김 씨와 우원식 국회의장,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등의 체포 명단을 통보받았다고 폭로했다.
외신은 군 계엄령에 언론을 통제하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는데, 좌파 성향이며 반체제적 성향을 가진 김 씨가 유일하게 체포조의 표적이 된 언론인이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에 유리하고 편향된 태도를 보여 비평가들로부터 비난받는다는 외신의 지적에 김 씨는 "오히려 자신이 이렇게 편향성을 공개적으로 말함으로써 청취자들이 자신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20년 넘게 방송 활동을 해왔지만, 윤 대통령이 '최악의 정권'을 이끌었다고 비판했다. 왜 자신이 계엄령의 표적이 됐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개인적인 이유일 것이다"라며 "윤 대통령이 탄핵당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김 씨는 "비상계엄 사태를 통해 대한민국 민주주의 회복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한다"며 "국회가 몇 시간 만에 계엄령을 해제하고 시민들이 군을 막은 것은 아마도 역사상 유일한 사례일 것"이라고 평했다.
김어준은 2011년 팟캐스트 방송 '나는 꼼수다'로 큰 명성을 얻은 이후, 2016년부터 TBS FM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진행하다 2022년 12월 하차했다. 이후 유튜브로 자리를 옮겨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채널을 통해 방송을 이어가고 있으며 180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제주도 안 간 게 아니고 못 간 건가…국내선 좌석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