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A씨는 지난 9월 불법 리딩방에 접속한 뒤 가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 투자를 시작했다. 사기단은 초기 투자자금 없이 1억원 가까이 수익을 낸 것처럼 꾸민 뒤 피해자가 수익금 출금을 신청하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를 핑계로 출금을 지연하고 추가 납입을 요구했다. 금융감독원의 자금출처 조사 요구에 따라 추가 입금이 필요하다며 자금을 편취하는 것이다.
이처럼 불안정한 정치상황을 틈타 투자사기 등 민생침해 금융범죄가 기승을 부리자 금감원이 11일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다.
금감원은 계엄을 이유로 투자자의 자금출처를 조사하지 않으니 자금출처 심사를 위해 입금을 요구하더라도 절대 응하지 말라고 주의했다. 최근 정치상황을 악용해 불법업자가 정치 테마주 투자나 금융당국의 자금세탁 조사 등을 빙자한 투자사기 발생 가능성이 높으니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안내했다.
아울러 무료 주식강의나 재테크 책 제공 등 온라인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사설 주식거래 애플리케이션(앱) 설치를 유도하는 업체와는 어떤 금융거래도 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골프치던 MZ들 다 어디갔나요"…줄줄이 '철수' 하...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