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방문..."소각시설 충남도도 부담할 용의...갈등 조율 방법 고민 중"
김태흠 충남지사가 천안과 아산지역 갈등에 대해 “충남도가 중재에 나서고 있다”며 해결 의지를 피력했다.
김 지사는 23일 ‘도민과의 대화’를 위해 아산시를 방문한 자리에서 천안과 아산 지역 갈등에 대해 입을 열었다.
현재 천안과 아산의 대표적인 갈등 사례는 천안 백석동 쓰레기 소각장 증설과 공주~천안 민자고속도로 노선이다.
백석동 쓰레기 소각장 갈등은 천안시가 2001년 설치한 기존 1호기 소각시설의 내구연한 초과로 운영을 중단하고 1일 260톤 처리용량의 소각시설 1기를 2028년 2월까지 준공하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 시설 설치사업’에 아산시가 제동을 걸면서 시작됐다.
아산시는 신규 시설 입지 용지가 아산과 천안 접경지대 주변으로 음봉면 등 아산 주민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상생 지원금 40억 원과 주민지원협의체 구성위원 중 아산지역 40% 위촉 등을 주장했다.
결국 두 시는 지난해 4월 환경분쟁 조정위에 조정 신청을 내 조정위는 천안시가 아산시에 상생 지원금 30억 원 지원과 아산 주민이 상대적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노력하고, 아산시는 천안시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을 조정안으로 내놓았다.
그러나 아산시는 조정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의신청을 환경분쟁 조정위에 제기하며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천안시 성환읍과 공주시 정안면을 잇는 39.4㎞ 연장의 공주-천안 민자고속도로 노선을 두고도 양 시가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천안시는 공주까지 직선화 형태의 39.4㎞ 노선을 주장하는 반면, 아산시는 아산 탕정지구 개발 등으로 인한 교통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아산을 경유하는 44.2㎞ 노선을 주장하고 있다.
김태흠 지사는 “소각시설 문제에 대해서는 충남도가 중재에 나선 상황으로 금전적인 것이 문제"라며 "충남도도 일부 부담을 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주~천안고속도로 문제는 천안에서는 충남도에서 적극적으로 해달라고 강하게 요구하는데 아산이 반대하는 상황으로 도는 천안 아산의 갈등 조율 방법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태흠 지사는 제2 중앙경찰학교 유치와 관련해서도 자신감을 내비쳤다.
김 지사는 “전국적으로 제2 경찰학교 유치에 관심이 많고 많은 지자체가 도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충남에서도 아산과 예산 등이 유치전에 뛰어들었는데 아산을 비롯한 충남이 교통적인 여건 등을 따져 봤을 때 최적의 위치로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세종충청취재본부 김경동 기자 kyungdongk@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 "자식이 안 물려받는다는데"…이제 '남'에게도 기업 승계 가능해진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022008325229068_167684957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