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평균 소득 3분의 1에 못 미쳐
절반 이상 한국 국적 자녀 양육
이혼, 사별 등으로 한국을 떠난 베트남 다문화가족 10명 중 3명의 월 소득이 베트남 근로자 월평균 소득 710만동(38만5530원)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 절반 이상은 부양해야 할 한국 국적의 자녀가 있었는데, 10명 중 8명 이상이 자녀의 한국 교육과 취업을 원하는 것으로 파악돼 생계 안정을 위한 우리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뉴시스가 입수한 여성가족부의 '2023년 베트남 국외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시행된 해당 조사는 한국 남성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 161명과 그 자녀 1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37세로 한국에서 결혼 후 이혼, 사별, 별거 등으로 베트남에 돌아왔다. 이들은 베트남 북부 하이퐁과 남부 껀터, 빈롱, 허우장, 까마우, 빅리에우 등에 거주 중이다.
국내 국제결혼 27.6%를 차지하는 베트남 아내의 한국을 떠난 뒤 경제 상황은 좋지 못했다. 결혼이주여성 161명 중 36명(22.4%)은 월수입이 없다고 말했고 18명은 200만동(10만8200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200만~500만동(27만500원)이 43.5%로 가장 많았는데, 절반 이상의 결혼이주여성이 현지 월평균 소득에 미치지 못하는 돈으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대부분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절반 이상(64.7%)이 부양해야 할 자녀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자녀는 51.6%, 두 자녀는 11.2%였다. 자녀들의 평균 연령은 13세였고, 한국 국적 52.3%, 베트남 국적 27.3%, 이중국적 20.3%였다. 귀환 여성 본인이 직접 키운다고 응답한 비율은 82.4%이었다.
이들 중 86.8%(92명)는 학교에 정상적으로 다니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나머지 14명은 현재 다니지 않거나 전혀 학교에 다닌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녀를 키우는 결혼이주여성 80.4%(78명)는 자녀가 한국에서 교육받기를 희망한다고 답했고, 85.4%(82명)는 자녀가 한국에서 취업하기를 원한다고 답했다.
이번 실태조사와 함께 심층 면접도 진행됐는데, 베트남에 귀환한 자녀와 양육자를 동시에 인터뷰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여가부의 함께 조사를 진행한 사단법인 유엔인권정책센터는 실태조사 결과를 두고 이들의 안정적 체류와 교육을 위한 국외다문화가족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아동수당 지급 및 긴급 의료 지원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센터는 "현재 귀환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의 아동 수당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한·베 자녀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금전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아동 수당 지급으로 지금까지 발견되지 못한 귀환 여성과 그 자녀들을 찾을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또 "귀환 여성과 한·베 자녀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노력해야 한다"며 "한국 국적의 한·베 자녀의 교육과 진로에 대한 정부 차원의 현실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소진 기자 adsurd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뉴진스, 방시혁·하이브 작심 비판…"25일까지 민...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