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600곳 중 59.5% 최저임금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최저임금 인상 시 46%는 고용감축 검토"
경총·중기중앙회 '중소기업 고용애로 실태 및 최저임금 의견조사'
[아시아경제 유현석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최저임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경영상황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악화돼 지불능력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한국경영자총협회와 중소기업중앙회는 최저임금 수준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고용애로 실태 및 최저임금 의견조사' 결과 59.5%는 내년도 최저임금을 동결(53.2%)하거나 인하(6.3%)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응답은 중소기업의 47.0%가 여전히 현재 경영상황이 코로나 이전 상황과 비교해 악화됐다고 느끼는 점과 향후 경영·고용여건에 대해 악화(36.9%)로 호전(12.3%) 대비 더 우세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최저임금 인상 시 고용 감축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저임금 인상시 대응방법으로 대책 없음(모름) 47.0%이었다. 특히 기존인력 감원(9.8%)과 신규채용 축소(36.8%)등 고용감축이 전체의 46.6%를 차지했다.
경총은 "현재 정상적인 임금 지급이 어려운 중소기업이 29.0%에 달하고 인건비 증가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3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며 "중소기업이 최저임금 인상 대응에 취약한 상황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들의 53.7%는 최저임금 구분적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합리적인 구분기준은 업종별(66.5%), 직무별(47.2%), 규모별(28.9%), 연령별(11.8%), 지역별(7.5%)순으로 나타났다.
류기정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는 "조사대상 중소기업의 약 60%가 내년 최저임금의 최소한 동결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은 우리 중소기업들의 지불능력이 한계상황에 도달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올해 최저임금 논의에서는 이러한 중소기업의 지불능력을 가장 핵심적인 결정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