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LG유플러스(부회장 이상철)가 올 하반기 광대역 LTE-A 서비스 선보이게 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LTE 기지국 경계지역에서도 CA(Carrier Aggregation)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DU(Digital Unit)’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LTE에서는 여러 개의 주파수를 섞어서 더 빠른 속도를 내는 기술을 말한다. 이번에 개발한 클라우드 DU는 기지국내 디지털 정보 처리장비인 ‘DU(Digital Unit)’를 클라우드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단일 기지국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서 구현되는 CA기능을 기지국간 경계지역에서도 동일하게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처럼 LG유플러스가 클라우드 DU기술을 업계 최초로 선보이게 된 것은 LTE 기지국이 점차 스몰셀(small sell)로 많이 까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또한 광대역 LTE-A, 업링크 콤프(Uplink Cooperative Multi-Point)와 같이 각기 다른 특성의 LTE 주파수를 동시에 활용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해 기지국 경계지역 서비스 품질 강화가 필요하다.
최택진 SD전략기술부문장은 “올 하반기 광대역 LTE-A 지원 단말 출시가 예상됨에 따라 고객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며 “차세대 네트워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기술을 지속 개발해 LTE 기술 경쟁력 우위를 지속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