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 상생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행정안전부 주관…세종 등 5개 지자체 참여
폐현수막 재활용률 30%→100% 상향 목표
SK케미칼 이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민간 기업들과 협력해 버려지는 현수막을 재활용한다. 세종 등 5개 지자체가 관내에서 폐현수막을 수거하면, SK케미칼은 이를 분해해 다시 쓸 수 있는 재활용 소재로 만든다. 궁극적으로는 폐현수막을 다시 현수막 원단으로 되돌리는 '완결적 순환 체계(클로즈드 루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SK케미칼은 5일 울산 남구 울산공장에서 세종시, 강원 강릉시, 충북 청주시, 전남 나주시, 경남 창원시 등 5개 지자체와 친환경 스타트업 '리벨롭', 사회적기업 '세진플러스', 카카오 와 함께 '폐현수막 재활용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행안부와 지자체, 기업이 힘을 모아 폐현수막을 수거하고 SK케미칼의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활용해 자원 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협약에 따라 행안부는 지자체와 기업 간 협력을 지원하며, 5개 지자체는 지역 내에서 폐현수막을 안정적으로 수거하고 이를 활용한 재활용 제품 도입을 확대할 예정이다. SK케미칼은 수거된 현수막을 분자 단위로 분해해 석유 기반 페트(PET)와 동일한 품질의 재활용 PET로 만들게 된다. 이후에는 전기·전자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적 재활용 기술을 우선 접목하고 올해 말부터는 화학적 재활용 중심의 순환 체계 구축을 본격화한다.
SK케미칼이 생산한 재활용 PET는 리벨롭과 카카오를 통해 의류, 책상, 현수막 등 다양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유통·판매된다. 세진플러스는 폐현수막을 물리적으로 가공해 차량 내장재나 건축자재로 업사이클링할 계획이다. SK케미칼은 이번 협약으로 정부·지자체·기업이 협력해 현재 30% 수준인 폐현수막 재활용률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폐현수막 발생량은 연간 약 6000t으로, 이 중 70%는 소각되거나 매립되고 있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5개 지자체에서만 연간 200t의 폐현수막이 발생한다. 그간 폐현수막 재활용은 대부분 장바구니 제작 등 일회성에 그쳐, 재가공된 제품도 다시 소각되거나 매립되는 구조였다. 반면 화학적 재활용은 품질 손상 없이 반복 사용할 수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시범사업 성과를 토대로 중앙정부 차원의 재활용 지침을 마련하고,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환경부 등과 협의해 재활용 제품 사용 확대 방안도 함께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SK케미칼은 폐현수막 외에도 순환 경제 확대를 위한 사업과 기술 개발을 계속할 방침이다. 김현석 SK케미칼 리사이클사업본부장은 "현수막은 대부분 일회성으로 폐기돼 환경 부담이 컸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폐현수막의 완결적 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순환 재활용 생태계를 넓혀가겠다"고 했다.
한편 SK케미칼은 2023년 약 1300억원을 투자해 중국에 'SK산터우'를 설립하고 세계 최초로 상업화된 화학적 재활용 설비를 확보했다. 국내에도 울산 공장 내에 폐플라스틱을 분해해 재활용 원료를 생산하는 '리사이클 이노베이션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