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기자수첩]일본 엑스포 현장에서 마주한 국제행사의 민낯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기자수첩]일본 엑스포 현장에서 마주한 국제행사의 민낯
AD
원본보기 아이콘

일본 오사카에서 머문 약 일주일간 살펴본 현장에서 활기를 느끼기는 어려웠다. 오사카엑스포는 주최국인 일본 내에서도 관심과 참여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듯 보였다. 개막 초기의 우려를 딛고 정상궤도에 올랐다는 평가와는 달랐다. 전시장이 조성된 유메시마를 조금만 벗어나도 '엑스포가 열리는 도시가 맞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시내에서 가장 유동 인구가 많은 도톤보리 인근의 난바역 역사 안에 있는 엑스포 홍보 부스는 상시 근무자 없이 사실상 방치됐다. 관람객 숫자를 의도적으로 늘리기 위한 특단의 조치 영향 때문인지, 자국 관광객들이 절반 이상이었다. 유치원생들의 단체 관람이 특히 많았다는 게 이를 보여준다.



일본 경제산업청은 이번 오사카엑스포로 경제효과는 약 29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이는 아직 실현되지 않은 '희망의 숫자'일 뿐이다. 현재로선 불투명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획기적인 신문물이 등장한 것도 아니어서 화제성이 '제로'에 가깝고 비용도 많이 들었다. 일본 정부는 지난 7년간 이 행사 준비에 약 3조원을 쏟아부었지만 공사비와 유지 및 보수비가 추가로 발생해 비용을 키우고 있다.

물론 엑스포 자체의 위용이 예전 같지 않은 영향도 있다. 엑스포는 올림픽·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라 불리지만 최근엔 위상이 다소 약해졌다. 정보통신의 발달로 전시 현장을 굳이 가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열렸고 최근엔 각종 컨벤션 행사가 홍수처럼 쏟아지는 등 엑스포 이상의 볼거리도 많아진 탓이다. 전화(1876년), 전구·축음기(1878년), 자동차(1885년), 비행기(1904년), TV(1939년) 등 우리 문명을 바꾸는 문물을 처음 선보였던 역사적 현장의 의미도 퇴색됐다. 지금은 오히려 문화행사에 가까워졌다는 게 적확하다.


일본 엑스포를 바라보면서 우리나라가 떠올랐다. 최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은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를 총력으로 지원하겠단 공약을 잇달아 내놨다. 지난해 유치에 실패한 부산엑스포 패착을 만회하겠단 의미가 강하다. 지역 균형발전에 국제행사 유치가 큰 도움이 될 거라는 판단이 크다.


엑스포와 올림픽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할 순 없지만 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재정투입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오사카 엑스포의 흥행 실패는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일본은 30조원의 경제효과를 노리고 엑스포에 7조원을 투입했다. 그러나 현재로선 기대를 낙관할 수 없다. 대선 후보들도, 새로 들어서는 정부도 국제행사 유치에 짊어져야 할 과제들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