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용→고부가가치' 재편되는 석유화학 산업
안도걸 민주당 의원이 주재한 정책 간담회서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전기료 감면 등 건의
울산 석유화학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석유화학 업계가 구조 전환 과정에서 겪고 있는 부담을 정치권에 직접 호소하고 나섰다. 기업들은 생산비 부담, 투자 위축, 각종 규제 등을 거론하며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도 현장 방문과 간담회를 통해 관련 정책 마련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울산 남구 SK지오센트릭 울산컴플렉스(CLX)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산하 '산업위기지역살리기위원회'가 주재한 정책 간담회가 열렸다. 위원장인 안도걸 의원이 "정책 대안은 현장에서 나온다"며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겠다는 뜻을 밝히며 마련된 자리다. 이날 간담회에는 SK지오센트릭, 대한유화 , 효성화학 , SK가스 등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과 한국화학산업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업계는 ▲울산의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 ▲친환경 소재·고기능 제품 개발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분산 에너지 특구 지정을 통한 전기료 감면 등 지원 방안을 건의했다. 최근 석유화학 업계는 저부가 범용 제품 중심의 구조에서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이루고 관련 연구·개발(R&D)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업계는 실제 현장에서는 초기 투자 비용 부담과 인센티브 부족으로 전환이 더디다는 반응이다.
정치권도 이러한 산업계 요청을 대선 국면에서의 정책 수립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안 의원은 통화에서 "석유화학 산업은 지역 일자리를 지탱하고, 국가 수출에 크게 기여하는 핵심 산업"이라며 "정권 교체와 관계없이 산업부의 구조 개편 정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제도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이어 오는 19일에는 조선업 현장인 전남 영암을 방문해 산업위기지역 관련 추가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석유화학 산업 구조 재편 흐름 속에서, 현장의 애로사항을 정책으로 연결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업계는 구조 전환이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세제·인프라·규제 등 다방면의 정비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