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 생산·실증 연구·소재 생산
종합 재활용 솔루션 센터 구축
내년 가동…연간 50t 생산 규모
SK케미칼이 국내에 순환 재활용 원료 생산, 실증 연구와 소재 생산까지 이어지는 플라스틱 종합 재활용 솔루션 센터를 구축한다. 투명 페트병 등 일부 폐자원에만 한정됐던 재활용 범위를 확장, 섬유 제품이나 자동차 부품 등 저품질 플라스틱에서도 재활용 원료를 추출할 계획이다.
SK케미칼은 울산 공장에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재활용 원료(r-BHET·recycled BHET)를 생산하는 파일럿 설비를 구축한다고 18일 밝혔다. r-BHET는 페트와 코폴리에스터 같은 폴리에스터 계열 소재의 중간 원료격 제품으로, '플라스틱 순환' 체계의 핵심이다. 파일럿 설비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연간 50t 생산 규모로 건설된다.
SK케미칼은 파일럿 설비와 기존 코폴리에스터 생산 설비를 연결해 '리사이클 이노베이션 센터(RIC)'를 만들 계획이다. 파일럿 설비에서 개발한 기술을 생산 공정에 도입해 실제 구현 가능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SK케미칼의 중국 자회사 SK산토우는 연간 10만t 규모의 r-BHET를 생산하지만, 재활용 대상이 주로 페트병으로 한정된다. 국내 신규 시설에서는 다양한 저품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연구가 추진된다. RIC에서는 섬유나 자동차 부품 등을 투입해서 r-BHET를 얻는 상업화 기술을 검증한다. 섬유는 폴리에스터 원사 외에도 다른 섬유와 단추 등 다양한 소재가 섞여 있어 재활용 난도가 높은 분야로 알려져 있다.
안재현 SK케미칼 사장은 "식·음료, 자동차, 전기·전자, 패션 등 각 산업군 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각 산업군의 완결적 자원 순환 체계를 그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