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KT, 6G 기술 선제확보 나섰다…초고집적 안테나 기술 검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노키아와 7㎓ 대역 기지국 성능 검증
"6G 시대 대비…기술 개발 힘쓸 것"

KT 는 노키아와 6G 후보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7㎓ 대역에서 초고집적 안테나(Extreme massive MIMO)를 활용한 기지국 기술을 검증했다고 16일 밝혔다.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은 5G보다 훨씬 많은 수의 안테나 소자(전파를 방사하는 부분)를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빔포밍(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해 전송하는 기술)으로 커버리지 확장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빔을 형성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간 다중화와 같은 방식으로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KT는 노키아와 6G 후보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7㎓ 대역에서 초고집적 안테나(Extreme massive MIMO)를 활용한 기지국 기술을 검증했다고 16일 밝혔다. KT 제공

KT는 노키아와 6G 후보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7㎓ 대역에서 초고집적 안테나(Extreme massive MIMO)를 활용한 기지국 기술을 검증했다고 16일 밝혔다. KT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KT는 초고집적 안테나를 통하면 7㎓ 대역에서도 3.5㎓ 대역의 5G와 유사한 수준의 커버리지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 주파수는 대역이 상승하면 전파 도달거리가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이번 기술 검증은 노키아 본사가 있는 핀란드 에스푸시에서 진행됐다.


KT는 지난해 관악구에 실측 사이트를 구축해 국내 도심 환경에서의 7㎓ 대역 전파 특성을 확인한 바 있다. 7㎓ 대역은 기존 5G보다 4배 넓은 주파수 영역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3.5㎓ 대역 대비 주파수가 2배 높아짐에 따라서 수신신호 세기는 줄어든다.


하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파장도 짧아지고 안테나 길이도 작아져 동일한 크기의 장비에 더 많은 안테나 소자를 집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3.5㎓ 대역과 비교했을 때 7㎓ 대역에서 안테나 집적도를 4배(192개→768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만큼 기지국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셈이다.

KT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 2025에서 노키아와 협력해 이번 초고집적 안테나 기지국 기술 검증 결과를 전시할 계획이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무선 통신 세대의 진화는 기존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는 만큼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면서 "고객 체감 품질 향상을 위한 선제적 6G 요소기술 확보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