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스 "4년 만에 인플레 확대 가능성 가장 높은 시기"
임금 상승·고용시장 긴축 조짐
윌리엄스 연은 총재 "인플레 둔화세 국면, 2%까진 시간 걸려"
둔화냐, 재반등이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인 관세정책으로 미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인플레이션을 둘러싸고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와 미 전 재무장관의 엇갈린 전망이 나왔다. 로렌스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정책 실수가 초래한 2021년 당시의 인플레이션 수준으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을 경고했지만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꾸준히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감지된다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과 의견을 같이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2021년의 정책 오류로 인해 상당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후로 4년 만에 인플레이션이 다시 치솟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라고 경고했다. 이 같은 전망은 같은 날 연방 상원 청문회에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한 제롬 파월 Fed 의장 의견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서머스 전 장관은 2021년 하반기 이후 전개된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놀라운 통찰력을 보여줬다. 당시 그는 물가상승은 일시적이라는 Fed의 안일함을 질타하며 "Fed의 판단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의 경고는 현실이 됐고 Fed는 부랴부랴 금리를 올려야 했다.
그가 인플레이션이 자극될 것으로 보는 근거는 위축된 고용시장과 임금 상승이다.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미국의 1월 비농업 고용은 14만3000명 증가하면서 시장 예상치를 3만명 넘게 밑돌았다. 인플레이션 영향을 짐작할 수 있는 전체 민간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35.87달러로, 0.5% 늘었다. 전년 대비 임금 증가율은 4.1%로 집계됐다.
서머스 전 장관은 1월 평균 임금이 크게 상승했지만 고용 시장은 긴축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정책들이 실행되기 전에 이미 소비자물가가 오를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고 봤다. 그는 "백악관에서 나오는 정책이 시행되기 전이지만, 인플레이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많은 경제학자가 우려하듯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이민자 추방과 국경 통제 강화 움직임이 임금 상승을 촉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자리 공급은 느는데, 상대적으로 값싼 직종에 종사해 왔던 이민자들의 노동 공급이 위축되면, 그 자리를 누군가는 채워야 한다. 근로자 모셔가기 경쟁이 임금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것이다. 또 관세 인상은 일시적으로 소비자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요인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현재 주기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은 작다고 점쳤다. 오히려 Fed가 금리를 내리기보다 올릴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서머스 전 장관은 "이 시점에서 다음 Fed의 움직임이 금리 하락이 아닌 상승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예상했다.
반면 존 윌리엄스 연은 총재는 다른 견해를 보였다. 윌리엄스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Fed의 목표치인 2%를 향해 계속 둔화할 것이라며 파월 의장과 호흡을 맞췄다. 윌리엄스 총재는 11일(현지시간) 뉴욕 페이스대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견실한 경제성장과 고용시장 여건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적당히 제한적인 통화 정책 스탠스는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윌리엄스 총재는 임금 성장세 둔화와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포함해 인플레이션이 꾸준히 완화될 것이란 여러 신호가 있다면서도 2% 목표 달성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take time)"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금리 예상 경로는 앞으로 나올 경제 지표에 달려 있다고 말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이민 정책 등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에 따라 통화정책 기조가 다소 바뀔 수 있음을 시사했다. 경제 관련 불확실성이 전망을 흐리고 있어, 금리 예상 경로를 단정 짓기 어렵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윌리엄스 총재는 "중요한 것은 경제 전망이 여전히 상당히 불확실하다는 것이며, 특히 재정, 무역, 이민, 규제 관련 정책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같은 날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인플레이션 둔화 증거를 기다리고 새 정부 정책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동안 금리를 ‘일정 기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발언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4개월 만에 2억 뛰더니 "100억까지 갈 것"…재건축 가속도 압구정 꿈틀[실전재테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1910322974022_1742347948.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