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동료, 후배들 결정 이해 못하겠다"
한 뇌전증 전문 교수가 대한의사협회(의협) 및 의대 교수들이 결의한 집단 휴진에 불참하기로 했다. 이 교수는 의료인의 집단 휴직이 중증 환자들에게는 사실상 '사형선고'라며 동료들을 향해 호소했다.
홍승봉 거점뇌전증지원병원협의체 위원장(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은 16일 '메디포뉴스' 기고문을 통해 "단체사직, 휴직은 중증 환자들에게는 사형선고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그는 "10년 후 1509명의 의사가 사회에 더 나온다면 그때 전체 의사 15만명의 1%에 해당한다"며 "1%의 의사 수가 늘어난다고 누가 죽거나 한국 의료가 망할 수 있나"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나의 사직, 휴직으로 환자가 죽는다면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정당화될 수 있을까"라고 반문했다.
![동네 병의원과 대학병원을 가리지 않고 '전면 휴진'이 확산하는 가운데 지난 14일 서울대병원에서 휠체어에 탄 한 내원객이 이마를 어루만지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4061710285618621_1718587736.jpg)
동네 병의원과 대학병원을 가리지 않고 '전면 휴진'이 확산하는 가운데 지난 14일 서울대병원에서 휠체어에 탄 한 내원객이 이마를 어루만지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홍 교수는 자신이 치료하는 뇌전증 환자들의 현 상황에 대해서도 전했다. "하루 젊은 중증 난치성 뇌전증 환자가 1~2명씩 사망한다"며 "그 원인은 30배 높은 돌연사, 또는 뇌전증 발작으로 인한 사고사다. 뇌전증 수술을 받으면 사망률이 3분의 1로 줄고, 10년 이상 장기 생존율은 50%에서 90%로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 지금은 전공의 사직으로 유발된 마취 인력 부족으로 예정된 뇌전증 수술의 40%도 못하고 있다"며 "전국에서 뇌전증 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은 단 7개, 서울 6개와 부산 1개인데 모두 전공의 사직으로 비슷한 형편이다. 대부분 수술이 취소, 무기한 연기됐다"고 토로했다.
그는 "아무 잘못도 없는, 국가와 의사가 지켜야 할 중증 환자들이 생명을 잃거나 위태롭게 됐다"며 "10년 후 증가할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가 죽게 내버려 둬도 된다는 말인가. 후배, 동료 의사의 결정이지만 의사로서, 국민으로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의사가 부족해서 환자가 죽는 것이지, 의사가 너무 많다고 환자가 죽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며 "내 아들, 딸이 의대생, 전공의라면 빨리 복귀하라고 설득에 설득을 하겠다. 의사 생활 중 단 한 명의 생명을 구한 경험은 그 의사 일생에 큰 힘이 된다"고 거듭 호소했다.
앞서 의협은 전날 전면 휴진을 앞두고 대정부 요구안 세 가지를 발표했다. 요구안에는 ▲의대 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과 처분 즉각 소급 취소 및 사법 처리 위협 중단 등이 포함됐다. 정부가 이를 받아들이면 18일 예고한 집단 휴진 보류 여부를 전 회원 투표에 부치겠다는 조건도 달았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17일 "정부가 이미 여러 차례 설명했고,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며 사실상 거부하자, 의협은 즉각 반발하며 계획대로 집단 휴진 및 궐기대회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샤넬 가방에 '주렁주렁'…고소득 여성들 '감정 소비'하는 32조 시장이 있다[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2213284729674_174529612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