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오프 통합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혁신 플랫폼 허브 G마켓, 체감 가입비 '0'
온오프 5%↓ "연 200만 버는 멤버십" 강조
KT·대한항공 등과도 파트너십, 생태계 확장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지불한 가입비의 10배 이상을 돌려받을 것.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모든 멤버십 중 가장 강력한 혜택을 가진, '멤버십의 신세계'를 경험하게 될 것."
강희석 이마트·SSG닷컴 공동 대표가 밝힌 신세계그룹 온·오프 통합 유료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의 골자다. 강 대표는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에서 "신세계그룹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고 세분화된 쇼핑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멀티 플랫폼을 구축했다"며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으로 대표되는 독보적 오프라인 매장과 SSG닷컴, G마켓 등 온라인 혁신 기업이 보유한 상품 경쟁력에 데이터와 물류 인프라가 더해진 생태계가 멀티 플랫폼에 기반한 신세계 유니버스"라고 강조했다.
G마켓은 신세계 유니버스의 확장을 위해 데이터와 AI에 기반한 혁신을 통해 '초개인화 메가플랫폼'으로 만든다는 목표다. 파트너십 강화에도 G마켓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SSG닷컴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영역으로 특화한다.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이 등이 축적한 상품 경쟁력도 차별화된 경험의 기반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강희석 이마트·SSG닷컴 공동 대표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에서 신세계그룹 온·오프라인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김유리 기자].](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3060810073956469_1686186459.jpg)
강희석 이마트·SSG닷컴 공동 대표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에서 신세계그룹 온·오프라인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김유리 기자].
가입비 3만원, 즉시혜택 3만원+온·오프 5% 할인 추가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은 '가입과 동시에 가입비만큼의 현금성 혜택 제공', '온·오프라인 어디서든 5% 할인'을 내세웠다. 6개 계열사에서 제공하는 할인과 무료 식음료 등을 두루 받으면 1년에 200만원 이상 혜택을 누리게 된다는 게 신세계그룹 측 설명이다.
가입비는 연간 3만원이다. 멤버십에 참여하는 6개 계열사 중 어디로 가입해도 3만원어치 혜택은 돌려받는다. 멤버십 가입자에게는 SSG닷컴, G마켓,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면세점 모두 3만원의 캐시가 지급된다. 스타벅스를 통해 가입하면 제조음료쿠폰 5장을 받는다.
어떤 채널로 가입하든 '5% 할인' 혜택은 이마트·신세계백화점·SSG닷컴·G마켓에서 누릴 수 있다. 회원 모두는 SSG닷컴에서 쓸 수 있는 5% 할인(할인 한도 1장당 2만원) 쿠폰을 매달 3장씩 받는다. 이마트에서도 전 상품 구매 시 사용 가능한 5% 할인(할인 한도 1장당 3000원) 쿠폰을 4장 받는다.
신세계백화점에서는 패션·잡화 상품을 살 때마다 5% 할인(연간 할인 한도 25만원, 할인 적용금액 500만원)된다. G마켓에서는 5% 할인 쿠폰 3장에 더해 추가로 할인쿠폰 4종(12% 1장, 10% 1장, 1000원 2장)을 제공한다. 옥션도 동일하게 할인쿠폰을 지급하며 쿠폰은 G마켓과 옥션에서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스타벅스에선 제조음료를 구매할 때마다 받는 별을 1개씩 더 받을 수 있다(월 최대 5회). 신세계면세점에서는 시내 면세점·공항 면세점·온라인 면세점에서 각각 쓸 수 있는 1만원 할인 혜택을 받는다. 최대 15%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골드 등급 혜택도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회원 모두에게 적용된다.
이인영 SSG닷컴 공동대표는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하나면 일상과 연계된 많은 영역에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됐고 혜택 영역은 점차 확대될 것이란 점에서 비교 불가능한 최고 멤버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영 SSG닷컴 공동 대표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에서 SSG닷컴의 향후 사업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김유리 기자].](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3060810395856572_1686188398.jpg)
이인영 SSG닷컴 공동 대표가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에서 SSG닷컴의 향후 사업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김유리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통신·항공·금융 등…유니버스 생태계 외부로 확장
통합 멤버십에 참여하는 6개 계열사 외에도 현재 신세계그룹 내에서 이마트24와 신세계푸드, 스타필드 등이 멤버십 동참을 준비 중이다. 멤버십은 외부로도 확장 예정이다. 신세계그룹은 KT 등 이동통신, 대한항공 등 항공, 금융, 게임, 배달플랫폼 등 여러 분야의 기업들과도 멤버십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동통신은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멤버십 협업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신세계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항공 역시 상당수가 마일리지 혜택에 관심이 많다는 점에서 협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
신세계그룹은 계열사의 역량을 통합 운용해 다양한 사업자 전용상품을 개발하고, 정기 배송 및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업간 거래(B2B) 사업을 확장해가고 있다. 이미 G마켓이 독보적 지위를 가진 중소·중견기업 대상 B2B 분야에서 더 나아가 선물·판촉물 시장, 50조 원 규모의 외식 식자재 시장 등까지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현재 약 2조원 규모인 B2B 매출을 장기적으로 5조원까지 성장시킨다는 목표다. 그룹 전체의 거래액 규모를 5년 이내에 현재보다 50% 이상 키우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는 매일 약 1000만명이 신세계 유니버스를 경험하고 있다. 이마트 매장을 찾는 하루 평균 고객은 약 150만명이다. 하루에 이마트에서 팔리는 초밥은 940만개, 쌀은 1만8000포대(1포대당 10kg 기준)다. 신세계백화점에는 매일 60만명이 방문한다. 스타벅스를 찾는 고객은 하루 100만명 이상이다. G마켓(옥션 포함)과 SSG닷컴을 방문하는 이용자는 하루 약 600만명에 달한다. 주말이면 스타필드 하남점 한 곳에만 하루 약 10만명이 시간을 보낸다. 전국에 있는 신세계그룹 계열사 점포는 1만여 곳이다.
강 대표는 "매일 신세계 유니버스 안에서 먹고 생활하는 수많은 고객은 통합 멤버십을 통해 한층 더 차별화된 혜택을 누리게 된다"며 "멤버십을 매개로 신세계 유니버스는 더 커지고 더 세련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