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_progress
Dim영역

박지원 "文 '이재명 중심으로 잘하라', 격려성 발언"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문재인 전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외에 대안이 없다'라는 말을 했다고 전해 논란의 중심에 선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격려성 발언"이라며 이를 둘러싼 논란의 여지를 차단했다.


박 전 국정원장은 23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문 전 대통령이 이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고 해석해야 하는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민주당이 단합해서 잘해라, 왜 그렇게 자꾸 싸우느냐. 그리고 현재 대안도 없으면서 이 대표를 중심으로 잘해야 되지 않느냐'는 염려의 말씀이고 격려의 말씀이지 다른 의미를 꼭 둘 필요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다른 의미를 둘 필요 없다'고는 했지만, 문 전 대통령이 이 대표에게 힘을 실어준 것을 긍정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는 "민주당 전직 대통령이고 현재 민주당원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문 전 대통령은 민주당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현재 비명이니 친명이니 수박이니 난리가 나니까 단합해서 잘해라 하는 그런 말씀"이라며 "원론적인 말씀이라기보다는, 그런 염려의 말씀을 그렇게 자꾸 해석을 붙여서 개인적 의견으로 내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의 전언을 두고 친명계는 '이 대표에게 힘을 실어준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이 해석이 과도한 것이냐'는 사회자의 질문에에 박 전 국정원장은 "그분들(친명계)이 그렇게 해석 안 하던데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답했다.


박용진 의원이 전한 문 전 대통령의 전언은 민주당의 결단과 변화를 주문한 것으로, 박 전 국정원장과 결이 좀 다르다. 이에 대해 박 전 국정원장은 "국가나 정부나 정당은 늘 변화와 개혁과 혁신을 해야 되는 것 아니에요. 그래서 현재 그렇게 비명이다 친명이다 이런 것보다는 시대에 맞게 변화해서 민주당이 잘 대응해야 된다 하는 그러한 원론적 말씀"이라며 "의원들이 비명계처럼 그렇게 얘기하는 것도 별 문제가 없다"고 했다.

이 대표 기소에도 불구, 민주당이 당무위원회를 열어 대표직 유지를 결정한 데 대해서는 "어제 목포에 있으면서 행사 중에 그러한 보고를 받았는데, 윤석열 정부가 드디어 또 기소를 한 것에 대해서 호남 민심은 굉장히 들끓더라"며 "민주당이 모처럼 잘했다. 당헌 80조 가지고 또 이러니저러니 그렇게 갑론을박하지 않고, 또 친명 비명 그런 의견 없이 그냥 80조에 대한 유권해석을 내려서 당무회의에서 통과해서 당대표직 그대로 해나가는 결정을 한 것은 잘했다 그런 분위기"라고 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 PICK

  • "여긴 여자 없으니까 그만 좀"…강남 빌라 울분의 공지, 왜 동창도 몰라봤던 정유정 신상공개 사진…고교 졸업사진 보니 카이스트 출신 도연스님 '이혼·자녀' 의혹…"활동 쉬겠다"

    #국내이슈

  • '축구의 신' 메시, 사우디 오일머니 거부…"美 마이애미행 확정" "트럼프, 대통령돼선 안돼" 펜스, 美대선 출마 공식화(종합) "자유의 여신상도 희미…세기말 같다" 뉴욕 삼킨 '오렌지빛 연기'

    #해외이슈

  • 국토부 "수내역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사고, 철도안전법 위반 여부 조사" "자유의 여신상도 희미…세기말 같다" 뉴욕 삼킨 '오렌지빛 연기' [포토]송영길 전 대표, 두 번째 검찰 자진 출석

    #포토PICK

  • 6월의 차 ‘푸조 408’…한국車기자협회 선정 韓에 진심인 슈퍼카 회사들…‘페람포’에 로터스까지 참전 현대차·기아, 5월 美 친환경차 月판매 역대 최대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中 세계 최대 규모로 완공한 '풍동' [뉴스속 그곳]폭우·지진·폭력에 위협 받는 '아이티' [뉴스속 인물]이탈리아전에서도 터질까…'골 넣는 수비수' 최석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