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전국 1만2572가구 분양 예정
2022년 2월 대비 40% 이상 감소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분양시장 한파로 1월 분양 실적이 계획 물량의 4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 시장 위축으로 미분양 우려가 커지자 지자체별로 공급 속도를 조절하고 있는 데다 건설사들이 서울은 재개발 단지, 지방은 대단지 위주로 분양을 미루고 있어서다. 당장 이달에도 전국에 1만 가구가 넘게 공급될 예정이어서 분양 예정 물량이 실적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미지수다.
6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초에 조사한 1월 분양 예정단지는 10개 단지, 총 7275가구, 일반분양 5806가구였다. 하지만 이달 이를 재조사한 결과 실제 분양이 이뤄진 단지는 4개 단지, 총 1569가구로 공급실적률 22%, 일반분양은 1461가구에 그쳐 공급실적률이 25%에 그쳤다. 당초 분양 예정 물량 4개 중 1개만 공급됐다는 얘기다.
저조한 분양 실적은 최근 냉각된 분양시장 분위기를 고려해 지자체, 건설사들이 공급 속도를 조절하고 있어서다. 지난달 30일 대구시는 지금까지 추진해온 건축심의를 강화하고 신규 접수된 주택건설사업에 대해 승인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승인된 주택 건설 사업지는 분양 시기를 조절해 후분양을 유도하거나 임대주택으로 전환할 것으로 사업 주체에 요구하기로 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미분양이 급증하고 신규 입주 물량 또한 집중되면서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주택사업 승인을 원천봉쇄한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사들도 분양을 미루는 분위기다. 서울에선 재개발 단지, 지방은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분양 일정이 연기되고 있다. 정부가 주택시장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 1월 규제를 대거 풀었지만, 경기침체와 고금리가 겹치면서 흥행을 장담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6만8107가구로 전월(11월 말) 대비 17.1%(1만80가구) 증가했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6.4%(662가구) 증가했고 지방은 19.8%(9418가구)가 늘어 지방의 미분양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약 수요 위축으로 이달 분양 예정 물량도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고 이마저도 시장에서 제대로 소화될지 미지수다. 직방에 따르면 이달에는 16개 단지, 총 1만2572가구 중 9924가구가 일반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 동월 물량과 비교해 총가구 수는 8922가구(42% 감소), 일반분양은 8359가구(46% 감소)가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함 랩장은 "미분양 물량이 누적되면서 분양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2월 분양 예정 물량 또한 실적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