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장효원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이 조만간 중단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상승세를 보였다.
2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4.07포인트(0.76%) 오른 3만3629.5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7.20포인트(1.19%) 상승한 4019.81에 마감했고 나스닥 지수는 1만1364.41로 2.01%(223.98포인트) 급등했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지난해 12월2일 이후 최고치로 나스닥 지수는 지난 20일(2.66%↑)에 이어 2거래일 연속 2%대 상승을 기록했다.
새해 들어 뉴욕증시에 훈풍이 부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내려오고 있다는 신호가 잇따르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피벗(통화정책 방향 전환)이 가까워졌다는 데 투자자들이 베팅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31일부터 내달 1일까지 열리는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폭이 0.25%포인트로 더 내려갈 것이라는 관측이 거의 100%에 가까운 데다 이르면 하반기 중 금리인하로 전환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를 비롯한 매파(통화긴축 선호) 인사들조차 최근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혀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최근 보도는 올해 봄 금리인상이 종료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치솟는 금리 부담에 지난해 낙폭이 컸던 기술주의 새해 반등폭이 큰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이날까지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올해 들어 8.5% 이상 올라 상승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날도 AMD(9.2%), 엔비디아(7.6%)와 같은 반도체주와 테슬라(7.7%), 애플(2.4%) 등이 일제히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세일즈포스는 헤지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의 대량 지분 매입 보도에 힘입어 3.1% 올랐고, 대규모 감원을 발표한 스포티파이도 2.1% 올랐다.
시장에서는 이번 주 마이크로소프트(MS)와 테슬라를 비롯해 S&P 500 기업의 거의 5분의 1이 내놓을 지난해 4분기 실적에 주목하고 있다. 또 일각에서는 시장의 금리 기대가 과도하다며 경계하는 시각을 보이기도 한다.
한편 이날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3.52%대로 전 거래일보다 0.04%포인트 가까이 올랐고, 기준금리에 민감한 2년물 금리도 4.2%를 다시 넘었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