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친형인 이 전 의원이 지난 11일 구속된 이후 공식 행사 일정을 대폭 줄인 채 침묵을 지켜왔다. 하루 1~2개의 공개 일정을 소화하던 이 대통령은 11일 제1회 인구의 날 행사 참석을 예고도 없이 취소한 후 일상적인 회의나 피치 못해 참석할 행사가 아니면 일정을 잡지 않고 있다. 다음 주에도 3차례의 정례회의를 제외하면 공식 일정이 없다. 청와대 측은 "여름 휴가철이라 공개 일정이 드물다"는 설명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하루 빨리 이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야당은 물론 여당인 새누리당 내에서도 이 대통령의 조속한 사과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심재철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지난 19일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이 잇따라 구속됐고 '문고리 권력'인 청와대 부속실장도 검찰소환을 앞두고 있다"며 "남은 임기 마무리 작업이 잘되도록 이 대통령이 국민에게 용서를 구하고 심기일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여론의 관심사는 이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의 수위와 내용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 대통령의 사과가 단순히 '유감 및 철저한 단속 의지'를 표시하는 수준에 그칠 지, 아니면 여ㆍ야 일각에서 요구하고 있는 청와대 인적 쇄신 또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ㆍ검찰 독립성 강화 등 제도적 개선 약속도 언급할 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한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사과 시점이나 내용이 논의되지 않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수사 결과나 기소 시점 등을 봐가면서 시기와 수위를 조절 중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아직까지 결론이 나거나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