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모습 촬영해 유튜브 올려
2500만회 기록하며 높은 관심
6년 만에 재개된 평양 국제 마라톤에 참여한 해외 유튜버가 생생한 후기를 전해 관심이 집중된다.
구독자 243만명을 보유한 영국 출신 유튜버 해리 재거드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미 '뉴욕포스트'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재거드는 지난달 평양 국제 마라톤에 참가했다. 그는 매체에 "북한은 아직 인플루언서라는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며 "유튜브 영상 촬영을 비교적 자유롭게 허용했는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간과한 측면도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재거드는 평양에서 5일을 지내면서, 북한의 여러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가 촬영한 영상은 유튜브에 공개됐으며, 약 250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전 세계 누리꾼의 관심을 끌어모았다.
그는 "투어 가이드가 '북한에 100개의 질문을 하려고 들어가면, 1000개의 질문만 품은 채 나오게 된다'는 말을 하더라"라며 "그게 정말로 사실이었다"고 전했다. 그만큼 평양에서의 경험은 기이했다는 것이다.
재거드는 "촬영 자체는 비교적 자유로웠다"면서도 "북한 사회 전반에 뿌리내린 통제, 선전은 여전히 변하지 않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영상 촬영 중 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전쟁 기념관을 들르기도 했는데, 그는 "어디를 둘러봐도 선전이 있었다. 한국전쟁 당시 숨진 미군 병사를 까마귀가 쪼는 형상의 조각상, 미국 국회 의사당이 폭발하는 선전 포스터 등을 봤다"고 회상했다.
호텔은 1970년대를 떠올리게 했지만, 대체로 위생적이고 편안했다고도 설명했다. 또 그가 묵은 호텔은 북한에서 유일하게 인터넷을 사용 가능한 곳이기도 했다.
재거드는 "북한 주민들은 확실히 세뇌된 것 같다"며 "외부 세계가 훨씬 더 발전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 일부 있을 수도 있지만, 그런 사실을 공공연하게 드러내거나 아는 척하면 가족 전체가 큰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아무런 행동도 못 할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했다.
한편 평양 마라톤은 지난 6년간 중단됐다가 올해 재개된 것으로 전해졌다. 40개 국가에서 200명의 마라톤 선수가 참가했으며, 재거드 또한 마라톤 완주를 위해 1달간 진지하게 훈련에 임했다고 한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