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韓위스키·日약과·中마스크팩…신세계免 "국가별 인기상품 천차만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이달 초 황금연휴 인천공항점 판매 데이터 분석
국적별 소비 트렌드 차이 나타나
동남아 관광객 K-푸드 선호

신세계면세점은 이달 초 황금연휴 기간 인천국제공항에서 집계한 국가별 인기 상품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내국인은 위스키, 중국인은 마스크팩, 일본인은 약과 등 국적별로 선호하는 상품이 다르게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 제2터미널점 뷰티매장 전경. 신세계면세점 제공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 제2터미널점 뷰티매장 전경. 신세계면세점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신세계면세점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최장 6일간 이어진 연휴 기간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을 비롯해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7개국 개별관광객(FIT)들이 구매한 상품 수량을 기준으로 상위 품목을 집계해 소비 성향을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식품과 화장품 분야에서 뚜렷한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인 관광객은 마스크팩을 가장 많이 구매했고, '토리든 다이브인 저분자 히알루론산 마스크'와 '리쥬란 턴오버 마스크'가 대표 인기 제품으로 꼽혔다. 또 스팸, 딸기 통화이트 초콜릿, 허니버터아몬드가 뒤를 이었다.


달콤한 디저트를 선호하는 중국인과 달리 일본인들은 한국 전통 식품인 약과와 다양한 김 제품 외에도 호두과자, 올리브유 등을 구매하며 국산 식품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김류 중심의 구매 패턴에서 벗어나 품목이 다양화됐다.


내국인 고객들은 '발렌타인 30년산' 위스키를 가장 많이 구매했고 상위 5개 품목 중 프리미엄 위스키가 3종 포함됐다. 특히 발렌타인 30년산은 황금연휴 기간 인천공항점에서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위스키 외에도 홍삼, 국산 소주 등이 고루 상위권에 올랐으나, 올해는 위스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K-푸드를 선호했다. 싱가포르 관광객은 지난해 화장품 위주의 소비에서 올해는 오설록 그린티랑드샤, 스팸 등 식품류 구매가 두드러졌으며 말레이시아 관광객은 허니버터아몬드, 오징어채볶음, 다시다 등 전통 식품 위주로 소비했다. 베트남 관광객은 홍삼과 프리미엄 위스키를 고루 선호했다. 지난해에는 홍삼 젤리와 캔디 등 가공 홍삼 제품이 상위권에 올랐다면, 올해는 여기에 '시바스 리갈', '발렌타인' 등의 위스키가 새롭게 포함되며 소비 트렌드가 확장됐다. 태국도 '리쥬란 턴오버 마스크'에 대한 관심이 높았지만 허니버터아몬드, 스팸, 오설록 말차 등의 식품도 많이 구매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이번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시아 국가별로 고가 주류, K-푸드, 화장품 등 주요 카테고리에서 소비 성향이 뚜렷하게 갈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중국인의 취향 변화, 베트남의 프리미엄 주류 선호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국가별 맞춤형 상품 구성과 마케팅 전략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