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머스크-젠슨황 AI인프라 펀드 진영 구축…오픈AI 견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블랙록·MS·아부다비 국부펀드 공동 설립 펀드
총 1000억달러 투자 유치 목표
머스크, 올트먼 견제 의도란 해석도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블랙록이 주도하는 AI 인프라 펀드에 참여한다. 외신은 생성형AI 등장 이후 거액이 움직이는 AI 인프라 구축을 둘러싸고 기술기업과 투자자가 간 진영 꾸리기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풀이했다.


AFP연합뉴스

AF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엔비디아와 xAI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AI 인프라스트럭처 인베스트먼트 파트너십(AIP)'에 참여한다고 전했다. AIP는 블랙록과 마이크로소프트(MS),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부펀드 MGX가 작년 9월 공동으로 설립한 투자 파트너십이다.

투자그룹은 우선 300억달러의 자금을 유치한 뒤 부채자금을 포함해 총 1000억달러 투자금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FT는 "이는 기업들이 생성AI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센터와 에너지프로젝트를 구축하기 위해 앞다투어 나서고 있는 최근의 분위기를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다만 xAI와 엔비디아가 펀드에 거액을 투자할지 등 구체적인 참여 방법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원래 이 파트너십의 '기술 어드바이저'로 돼 있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전했다.


이 기금의 일부는 아부다비에서 나오는데, 아부다비는 방대한 석유를 활용해 AI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이를 주도하는 건 아랍에미리트(UAE)의 국가 안보 고문인 셰이크 타눈 빈 자예드 알 나흐얀이다. 그는 지난 18일 방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다.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AI 인프라 글로벌 구축은 전 세계 모든 회사와 국가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엔비디아 풀스택 AI 인프라가 구축된 AI 팩토리는, 모든 사업에 데이터 가속화를 지원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와 xAI의 연합은 소프트뱅크와 챗GPT를 개발한 오픈AI가 AI인프라를 구축하는 자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2개월 만에 나온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 달러(약 730조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xAI의 이번 펀드 참여를 두고 닛케이는 "라이벌인 오픈AI가 추진하는 투자계획 스타게이트에 대항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며 "거액이 움직이는 AI 인프라 투자에 대해 기술기업과 투자자 간 진영 구축이 활발해졌다"고 해석했다.


머스크 CEO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최근 오픈AI의 영리법인 전환 문제를 두고 대립각을 세워왔다. 머스크 CEO는 오픈AI가 초기 설립 목적(오픈소스 & 공익)을 버리고 상업화에 집중했다고 비판하며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오픈AI를 141조원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올트먼 CEO는 "우리가 X(옛 트위터)를 14조원에 사겠다"고 응수하며 "머스크의 인수 제안은 현실성이 없다"며 머스크의 AI 경쟁사인 xAI와 X를 조롱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